‘한진해운 파산’…전남 광양항 후폭풍 예고

물동량 감소 불가피…관련 업계도 위기 봉착

전남도·항만공사, 향후 대응책 마련에 부심

국내 최대 해운사인 한진해운이 설립 40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면서 전남 광양항이 물동량 감소 등 직격탄을 맞게 됐다.

전남도는 한진해운 파산에 따른 후폭풍과 고통을 최소화하는 한편, 해운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후속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19일 전남도와 여수광양항만공사 등에 따르면 지난해 광양항 컨테이너 물동량 222만4천TEU(20피트 길이 컨테이너) 가운데 22만TEU는 한진해운 물량이었다.

전체 물동향의 10%를 한진해운이 맡았던 셈이다.

2015년에는 232만7천TEU 중 32만TEU가량이 한진해운 물량이었다.

광양항 물동량 중 한진해운이 차지하는 비중은 해마다 증가 추세를 보이다가 2015년 13%를 넘었지만, 법정관리에 들어간 지난해 다시 10% 아래로 떨어졌다.

수출 물량은 다른 선사를 통해 광양항을 거쳐 갈 수 있지만, 한진해운 환적물량은 ‘대체 불가’일 것으로 업계는 내다봤다.

한진해운 환적물량은 2015년 13만9천TEU에서 법정관리에 들어간 지난해 이미 9만4천TEU로 급감했다.

한진해운 파산으로 관련 업계도 위기에 봉착했다.

밀린 거래대금을 받지 못한 업체들은 800억원대의 피해가 예상되며 실직자는 전국적으로 1만명이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특히 관련 업계에서는 공식적으로 집계되지 않는 유·무형 피해까지 고려하면 천문학적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광양항에는 5개 안팎의 한진해운 협력업체가 예·도선, 검수, 고박, 줄잡이 등 업무를 처리해 왔다.

일부 업체는 법정관리 당시 모두 12억원을 한진해운 측으로부터 받지 못했지만 공익채권으로 변제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한진해운 파산에 따른 후폭풍이 현실화되면서 해법 모색을 위한 전남도의 고심도 커지고 있다.

전남도가 직접 타격을 입은 광양항의 경쟁력 확보는 물론 관련 업체들의 피해를 최소화해야 할 중책을 맡고 있지만, 해운업계 불황으로 당장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전남도 관계자는 “한진해운 파산으로 광양항이 부산항과 함께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협력업체와 광양항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1977년 설립된 한진해운이 40년 역사를 뒤로 하고 결국 파산했다.

서울중앙지법 파산6부(수석부장판사 정준영)는 한진해운 파산 선고을 내렸다. 지난 2일 한진해운회생절차 폐지 결정을 내린 지 약 2주 만이다.


/안세훈 기자 ash@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