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의 모든 역량, 사람 늘리는데 쏟아야

저출산·초고령화 현상이 뚜렷한 ‘전남의 인구절벽’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전남지역은 최근 4년 출생자보다 사망자가 많다. 지난해에는 전남에 전입하는 사람보다 전남을 떠나가는 사람이 더 많았다. 청년세대가 전남을 떠나면서 아이를 낳을 수 있는 가임여성 인구도 줄었다. 전남지역 20~39세의 가임여성 수가 65세 이상 인구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전남지역의 인구급감을 경고하는 각종 통계와 지표가 계속해서 쏟아져 나오고 있다. 전남에서는 전국 시·도 가운데 처음으로 2013년 6월 사망자 수가 출생자 수를 넘어서는 ‘데드크로스’가 발생했다. 2014년 8월에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했다. 지난 3월 말에는 기준 인구 190만 선이 붕괴됐다. 이대로 가면 30년 뒤에 전남지역 17개 군이 사라지게 된다.

전남도와 관계부처는 비상이 걸린 상태다. 도는 지난 8월 인구정책팀을 신설해 가동에 들어갔다. 도는 다양한 시책을 통해 인구를 늘려나간다는 방침이다. 일선 시·군과 협력해 다른 지역과 차별화된 획기적 시책들을 많이 발굴해 인구유입의 촉매제로 삼겠다는 것이다. 도는 이를 위해 ‘인구 담당 공무원 정책 토론회’를 갖는 등 안간힘을 쓰고 있다.

도가 인구증가를 위해 효과가 있다고 판단한 시군 시책들은 청년일자리 분야확대(순천시)와 인구영향 검토제(광양시), 출산·양육지원 확대(해남군), 결혼장려금 지급(장흥군) 등이다. 이 시책들은 아이를 낳을 수 있는 젊은 층 유입에 주안점이 맞춰져 있다. 일자리를 늘리고, 아이를 낳고 키우는데 필요한 비용을 지자체들이 부담하겠다는 것이 주 내용이다.

문제는 나주혁신도시를 제외하고는 젊은 층 유입유도가 그리 쉽지 않다는 데 있다. 젊은 여성들은 도시생활을 선호하는데 반해 전남은 농어촌 지역이 대부분이다. 남편을 따라 농촌과 어촌으로 돌아오는 여성들이 있기는 하나 상당수 여성이 가임기를 벗어난 연령층이다. 따라서 고소득 일자리와 도시형 주거환경 마련이 전남 인구문제 해결의 관건이다.

본보가 기획기사로 내보고 있는 <전남 인구절벽, 대책은 없나>는 그 문제의 심각성을 다시 또 알려 사회구성원들의 지혜를 모아보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전남인구문제는 행정기관만의 노력으로 해결될 일이 아니다. 분배와 나눔의 공동체 정신이 필요하다. 또 가족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전환도 요청된다. 모든 역량을 사람 늘리는데 쏟아야 한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