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미완의 과제 이제는 끝내자

②암매장 및 행방불명자

아직도 돌아오지 않은 76명은 어디에…

목격자 등 제보에도 암매장 발굴 성과 無

훼손 가능성도…“계엄군 양심고백 절실”

나경택 촬영, 518기념재단 제공
5·18진상규명을 위한 또 다른 과제는 1980년 5월 18일 당시 희생된 행방불명자(행불자)들의 흔적을 찾는 것이다. 현재 법적으로 행불자 지위가 인정된 사람은 82명이다. 이 가운데 6명의 유해는 망월동 5·18 구 묘역 무연고 묘지에 안장돼 있던 것으로 밝혀졌다. 나머지 76명의 흔적은 아직까지도 찾지 못하고 있다.

◇행불자 찾기 작업 전개

지난해 11월 6일 행불자를 찾기 위한 선제적 작업의 일환으로 암매장 발굴 조사가 8년만에 재개됐다. 암매장 발굴은 문재인 대통령 특별 지시로 이뤄졌다. 국방부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구성과 함께 5·18기념재단과 5월 3단체(유족회·구속자회·구속부상자)가 주축이 됐다. 재단 등은 1995년 검찰청 ‘12·12 및 5·18 사건’ 조사자료를 토대로 80년 당시 계엄군 병력이 주둔했던 ‘옛 광주교도소 부지’, ‘옛 화순 너릿재터널 인근’, ‘서구 치평동 옛 전투병과교육사령부 인근’ 등을 60여일간에 걸쳐 수색했다.

◇제자리 걸음 ‘왜’

두달간 이어진 행불자 흔적 찾기 작업은 결국 실패했다. 이를 두고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다. 재단 측은 희생자 암매장과 이를 은폐하기 위해 사후 증거 인멸이 이뤄졌을 가능성에 비중을 두고 있다. 즉 암매장 흔적이 외력에 의해 훼손돼 위치 선정에 오류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판단은 1980년 당시 7공수가 6월 중순까지 광주에 머물렀고 11공수는 항쟁 직후 서울로 떠났다가 일반인 또는 보병 복장으로 광주에 돌아왔다는 증언 때문이다. 재단 측은 ‘공수부대 지휘부가 1980년 5월 27일 이후 암매장 관련 내용을 신고하라는 명령을 하달했다’는 군 관계자 증언 기록을 토대로 광주에 잔류ㆍ복귀한 병력이 암매장 흔적을 없앴을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기존 목격담이나 증언들로 구성된 암매장 추정지 자체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한 상황이다.

◇향후 과제는

암매장 흔적 찾기가 절실한 이유는 명백하다. 지난 38년간 묻힌 진실을 밝혀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진행중인 증언 위주의 발굴 작업은 한계에 봉착했다. 보다 실질적인 대안 마련이 절실하다. 이를 밝혀내기 위해선 계엄군 등 당시 상황을 잘 아는 핵심 관계자의 양심적 증언이나, 관련 자료를 보관하고 있는 당사자의 협조가 절실하다. 여전히 봉인된 비공개 군 기록물에 대한 정밀 분석은 물론 필요에 따라선 당시 광주에 투입된 군인, 현장에서 진두지휘한 하급장교들까지 찾아내 전방위적인 소환 조사도 필요하다.

조진태 5·18기념재단 상임이사는 “암매장 관련된 제보는 계속해서 들어오고 있지만 사실관계를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며 “조사위의 발굴조사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올해 가을 전까지 최대한 자료를 수집해 조사위와 함께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희윤 기자 star@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