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7곳 중 67곳 스프링클러 설치 無·소화기도 부실

광주 고시원도 화재에 취약 안전 불감증 ‘여전’
167곳 중 67곳 스프링클러 설치 無·소화기도 부실
고시생들 “남일 같지 않아…울며 겨자먹기식 이용”
 

12일 광주시 북구의 한 고시원 복도에는 스프링클러가 설치와 소화기 배치도 없어 화재위험에 무방비로 노출 돼 있다. /김영창 기자 seo@namdonews.com

“서울에서 발생한 고시원 화재가 남일 같지 않네요. 우리도 불안해 죽겠습니다.”

최근 서울 종로구 고시원 화재로 7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가운데 광주 지역 내 고시원에서 거주하는 한 이용객들이 이처럼 불안감을 호소했다. 유사 사고에 자신들 역시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불안감 때문이다.

12일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동 전남대학교 일대. 이곳은 경찰·공무원 학원과 영어학원 등이 밀집된 지역으로 고시생과 학원생들을 흔히 볼 수 있다. 특히 수많은 학원가들 사이로 고시원이 자리잡고 있었다. 한 고시원을 들어가 보니 사람 한명이 족히 통과될 수 있을 정도로 복도 통로는 비좁았다. 자칫 화재시 비좁은 통로로 인해 사람이 뒤엉켜 더 큰 인명피해를 일으킬 정도였다. 또 비좁은 복도 통로를 벗어나 부엌 한켠에는 낡은 소화기만 있을 뿐 스프링클러가 설치 되지 않았다. 더욱이 화재시 비상탈출구 주변에는 청소도구 등으로 가로 막혀 있었다.

고시원 주인에 따라 방을 들어가보니 족히 사람 한명이 누울 수 있을 공간이 나왔다. 하지만 이곳엔 화재발생시 초동 진화에 사용돼야 할 소화기 조차 없었다. 고시원 관계자는 “스프링클러 설치는 없지만 화재 발생시 화재경보기가 있다”고 변명했다.

그러나 소방청 다중이용업소 안전관리기준 특별법 등에 따르면 2009년 7월 8일부터 다중이용업주 및 다중이용업을 하고자 하는 자는 영업장에 대통령령이 정하는 소방시설등 및 영업장 내부 피난통로 그 밖의 안전시설을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를 설치·유지해야 한다. 의무 규정 조차 지키지 않은 셈이다. 문제는 이처럼 규정을 지키지 않은 고시원이 이 한 곳의 문제는 아니란 점이다. 실제 북구 용봉동 학원 일대뿐 고시원 뿐 아니라 동구 등 다른 지역 고시원들도 마찬가지 였다. 낡은 간판속 오래된 고시원으로 들어가보니 비상문은 커녕 소화기 조차 배치되지 않았다. 물론 스프링클러도 찾아 볼 수 없었다.

소방청이 분석한 자료를 보면 관련법규 시행 이후 광주지역 내 고시원 167곳 중 100곳은 스프링클러가 설치가 됐지만 67곳은 여전히 설치가 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고시원에서 거주하는 대학생 김모(27)씨는 “최근 뉴스를 통해 고시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사람이 죽는 등 화재 위험성의 심각성을 깨달았다”며 “그러나 방안에는 스프링클러도 없고 소화기도 오래 된 것 같아 화재가 발생하면 나 역시 그 피해자처럼 될 수 있겠다고 생각한 적이 있다”고 밝혔다.

한편 광주·전남 소방당국은 서울에서 발생한 고시원 화재와 관련해 지역 내 고시원에 대한 소방특별조사와 안전대책 수립에 나섰다. 12일부터 지역 내 고시원을 상대로 위험요소 파악에 나섰으며, 관련 안전대책을 논의한다.
/김영창 기자 seo@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