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와 상관없이 농어촌 취약지역 ‘1천원’
100원 택시 이어 버스·여객선까지 확대
타 시·도 벤치마킹…늘어난 예산은 과제

 

여수 신기~여천구간을 운행하는 한림페리9호. /여수시 제공

단돈 1천원으로 거리와 상관없이 전남 농·어촌 등 교통취약지역오갈 수 있다. 전남은 타시도와는 차별화된 교통복지를 꿈꾼다. 육지에서 이제는 바다를 가로질러 섬으로 향하는 뱃삯도 1천원으로 갈 수 있다.

노인과 학생, 오지지역 주민들의 교통비 절감과 병·의원 왕래, 통학, 시장 이용 등 다방면에 걸쳐 교통 편의 향상이 되면서 타시도에서 벤치마킹 사례도 이어지고 있다.

10일 전남도에 따르면 교통 오지마을 주민의 이동권 보장을 위해 현재 도내 22개 시·군 전체에서 100원 택시를 운영 중이다.

농촌 지역 어르신 등이 마을회관에서 읍면동 소재지로 이동할 경우 택시기사에게 100원을 지불하면. 이용 금액에서 100원을 뺀 나머지를 지자체가 대신 택시회사에 지불하는 방식이다.

2014년 2개 시·군에서 시범 실시한 이후 매년 확대돼 지금은 도내 모든 지자체가 운영 중이다.

이제는 100원 택시는 도내 모든 시군이 도입할 정도로 정착단계에 이르렀고, 1천원 버스는 광주광역시 인근 담양과 장성을 제외한 군 단위 15개 지자체가 도입했다.

‘버스공영제의 원조’는 전남 신안군이다. 섬으로만 이뤄진 신안군은 2013년 14개 읍·면에 농어촌버스 37대를 확보해 운영하는 버스공영제를 전국에서 처음으로 시행했다. 초기 보상비로 30억원을 투자했고, 해마다 운영비 22억원을 들였다. 운영인력도 직접 고용했다. 이런 시도는 주민 편익을 우선하는 노선 설정과 배차시간 등으로 주민들한테 호응을 받고 있다

전남도의 교통복지는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섬 주민 여객선 운임을 1천원으로 단일화하는 ‘1천원 여객선’이 현실화 됐다.

전산 발권 시스템 개발을 완료한 전남도는 지난 1일부터 광역자치단체 최초로 1천원 단일 요금제를 시행했다.

섬을 오가는 유일한 교통수단인 여객선이 지난해 대중교통법에 포함됐지만, 육지보다 큰 비용을 내는 섬 주민의 이동권을 확보하기 위해 도입했다.

도내 1천320개의 여객선 운항구간 중 섬 주민 이용이 가장 많은 932개 전체 생활 구간(운임 8천340원 미만)에 대해 시행한다.

932개 생활 구간은 지난해 말 기준 섬 주민 누적 이용객 198만 1천명 중 75%에 해당하는 154만 9천 명이 이용한 구간이다.

섬 주민 5만여 명이 혜택을 볼 것으로 보인다.

전남도는 여기에 그치지 않고 거문도·홍도 등 8천340원 이상 388개 구간에 대해서도 국비 확보 등을 통해 도내 전 구간에 걸쳐 1천원 여객선 단일요금제를 확대할 방침이다.

이처럼 전남도민들을 대상으로 한 교통복지가 현실화 되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부작용도 제기되고 있다. 매년 지자체마다 적게는 수억원에서 많게는 수십억원의 예산이 들어가는 데다 그 비용도 갈수록 커지고 있어 국·도·시군비 부담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박지훈 기자 jhp9900@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