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38곳 참여…전체 3%
호흡기 전담클리닉병원 위주 선정
세부지침 없어 병원·시민 ‘혼란’
시범운영 후 확대도 쉽지 않을 듯
“문제점 보완 혼선 최소화 방침”

 

지난 23일 광주광역시청 광장에 설치된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를 받으려는 시민들이 대기하고 있다. /임문철 기자 35mm@namdonews.co

광주·전남지역에서 26일부터 새로 개편된 방역체계가 적용되는 가운데 시행 하루 전까지도 감염관리 매뉴얼 등에 대한 세부 지침이 마련안돼 병원과 시민들의 혼란이 커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준비도 안 된 상황에서 성급하게 새 방역체계를 시행한다는 지적까지 나온다.

25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와 광주시에 따르면 오미크론 변이 초우세지역으로 구분된 광주·전남·경기 평택·경기 안성 4개 지역은 26일부터 새로운 검사·진료체계가 적용된다. 이에 PCR(유전자 증폭) 검사를 희망하는 사람들은 먼저 호흡기 전담클리닉 병원을 방문해 신속 항원 검사를 받아야 한다. 양성이 나오면 해당 병원이나 인근 보건소를 방문해 PCR 검사를 받을 수 있다. 호흡기 전담클리닉은 감기와 독감 등의 발열 호흡기 환자들을 중점적으로 진료하는 시설이다. 병원 안에 마련된 별도의 공간 안에 양·음압 중앙제어시스템 등이 갖춰져 있다.

문제는 시행 전날인 25일까지도 구체적인 감염관리나, 검사수익 등이 포함된 세부 지침조차 나오지 않았다는 점이다.

호흡기 전담클리닉으로 지정된 광산구 한 병원 관계자는 “감염관리 등의 매뉴얼은 아직도 내려온 것은 없고, 광주시에서 원론적인 부분만 이야기하고 있다”며 “당장 내일부터 시행해야 하는데, 우리 역시 불안하고 혼란스러운 상황이다”고 말했다.

호흡기전담클리닉도 광주·전남 모두 40곳도 안 되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호흡기전담클리닉 지정을 위해선 여러 가지 요건을 갖춰야 하는 탓이다. 광주·전남 내 전체 병·의원(지난해 12월 기준) 중 호흡기전담클리닉으로 등록된 곳은 38곳(광주 23개소·전남 15개소)이 전부다. 지난해 12월 기준 광주·전남(1천61개소·1천134개소)지역의 전체 병·의원의 3% 수준이다.

정부는 호흡기전담클리닉을 시범운행 결과에 따라 일반 병·의원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지만 일선 병·의원에선 난색이다. 코로나19 검사를 진행할 때 안전상 다른 환자들과 분리돼야 하는데 시설이나 대응지침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병·의원들이 독립된 건물이 아닌 식당이나 카페 등 다른 상점들과 함께 상가에 입주해 있다 보니,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주변으로 퍼질 우려도 있다.

동구에서 이비인후과를 운영하는 A씨는 “동네 병원은 별도의 분리된 공간을 마련하기가 힘들다. 의사가 한 명인 곳도 많다”며 “상점들과 함께 있는 병원의 경우 감염 우려도 있다”고 말했다.

시민들을 대상으로 호흡기전담클리닉 홍보가 부족하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호흡기전담클리닉의 위치, 운영 시간 등에 대한 정보는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누리집에는 게시돼 있지만 정작 이 내용을 아는 시민들은 극소수에 불과한 실정이다.

결국 호흡기전담클리닉 신속항원검사 체계가 효과를 보기 위해선 꼼꼼한 시행 매뉴얼 마련과 함께 병·의원의 협조, 대시민 홍보 등 보완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설득력있게 나오고 있다.

방역당국 관계자는 “새로운 방역체계를 전국으로 확산하기 전 4곳에서 시범 운영해 보는 측면도 있다”며 “시범 운영 과정에서 노출되는 문제점을 보완해 혼선을 최소화할 방침이다”고 말했다.
/김다란 기자 kdr@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