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광석(목포과학대학교 교수)

형광석 목포과학대학교 교수

5월, 가정의 달이다. 5일 어린이날, 8일 석가탄신일·어버이날, 15일 스승의 날·세계가정의 날, 16일 성년의 날, 21일 부부의 날. 모든 어린이와 가정에 하느님과 부처님의 자비로운 덕이 널리 베풀어지길 빈다.

더 빈다. 건강한 몸으로 집을 나섰다가 다시는 돌아오지 못한 아들딸과 형제자매를 둔 가정을 기억해주시라고. 이름도 남김없이 이름 없는 별이 된 그들을 잊지 말자고. 비록 치 떨리는 트라우마 한(恨)으로 그날 그 자리에 응어리졌을지라도 서로 어깨동무하자고.

가요 ‘푸르른 날’(송창식, 1974)을 듣는다. “눈이 부시게 푸르른 날은 / 그리운 사람을 그리워하자 // 저기 저기 저, 가을 꽃자리 / 초록이 지쳐 단풍드는데 // 눈이 내리면 어이 하리야 / 봄이 또 오면 어이 하리야//… 그리운 사람을 그리워하자.” 가사도 음률도 부담스럽지는 않다. 청년기에 부른 노래라서 그런지, 가수의 목소리는 잡티 없이 맑다.

어느 분이 이 노래를 연습한다기에 작사자가 누군지를 살펴봤다. 어이 하리야. 그 작사자는 시인이다. 그는 1980년 5·18 광주의 참상이 적잖이 알려졌을 1987년 1월, ‘처음으로ㅡ전두환 대통령 각하 56회 탄신일에 드리는 송시’를 지어 바쳤다. “한강을 넓고 깊고 또 맑게 만드신 이여 / 이 나라 역사의 흐름도 그렇게만 하신 이여 / 이 겨레의 영원한 찬양을 두고두고 받으소서 /… / 님은 온갖 불의와 혼란의 어둠을 씻고 / 참된 자유와 평화의 번영을 마련하셨나니 /… / 1986년 가을 남북을 두루 살리기 위한 / 평화의 댐 건설을 발의하시어서는 / 통일을 염원하는 남북 육천만 동포의 지지를 받고 있나니 / 이 나라가 통일하여 흥기할 발판을 이루시고 / 쉬임없이 진취하여 세계에 웅비하는 / 이 민족 기상의 모범이 되신 분이여 / 이 겨레의 모든 선현들의 찬양과 / 시간과 공간의 영원한 찬양과 /하늘의 찬양이 두루 님께로 오시나이다 / 1987.1.”

더 찾아봤다. 그는 1981년 2월 간선제의 12대 대통령 선거에 민정당 대통령 후보로 나선 전두환 씨를 지지하는 라디오 연설을 했다. 그에 앞서 전두환 씨는 5·18광주민주화운동을 짓밟고 1980년 9월 11대 대통령에 취임했다. 동아일보(1981.2.2.)가 보도하길, 그 시인은 연설에서 “미약한 사람으로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연설을 맡아 하게 된 것을 생애의 자랑으로 생각한다”, “정치와는 상당히 멀리 있던 제가 지지연설을 하는데 대해 혹 이상하게 생각할 분이 있을 것 같으나 절대로 딴 마음을 갖고 본심과 달리 지지 의사를 표명하는 것은 아니다”, “대통령과 직접 대면해서 이야기해 본 적은 없지만, TV화면에서 말씀 도중 천진난만하게 웃는 모습을 보았다. 하느님이나 단군 할아버지가 그 웃음을 내려다보았다면 같은 웃음으로 호응했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소쩍새는 / 그렇게 울었나보다.” 그 시인이 누군지, 잠깐 짐작하시기를 바란다.

작사자가 누군지도 모른 채, 가요 ‘푸르른 날’을 소리 높여 부르다가는 조선 후기의 선비 김병연(1807~1863)이 김삿갓 방랑 시인으로 정체성을 바꿔야 했던 참담한 사연을 되풀이하리라. 김 시인은 20세에 강원도 영월 백일장 때 시제로 김익순(1811년 홍경래의 난 때 평안북도 선천 부사)에 대한 내용이 나오자 그를 비판하는 글로 급제했다. 김익순이 자기 할아버지인 줄 전혀 몰랐다. 어머니의 말씀을 듣고서야 알았다고 한다.

가요 ‘푸르른 날’에서 보이는 계절은 가을이나, 대체로 내게 푸르른 날은 신록의 5월이다. 어느 70대 의사는 40여 년이 떠나갔어도 80년 5월 대학병원에서 전공의 수련 과정을 밟던 중 목격한 처참한 광경이 트라우마 한으로 맺혔는지, 5월에는 푸르른 나뭇잎이 핏빛으로 보인다고 한다.

그 시인이 전두환 씨를 지지하는 연설을 한 지 3개월여가 떠나간 그해 5월 27일 김태훈 다두(세례명) 민주 열사는 서울대 도서관에서 ‘전두환 물러가라’고 세 번 외치며 민주의 별로 승화하였다. 이제 그의 이름과 시는 내 청각을 자극하지 못 하리라. 역설에 가깝다. 가정의 달, 5월은 곧 ‘트라우마 한’의 대명사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