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전 광주 J대를 졸업한 박규식씨(28·가명)는 최근 인터넷 취업정보 사이트를 통해 서울 모 제조업체에 입사했다가 큰 낭패를 봤다.
이 업체는 박씨에게 수습교육을 통과하면 매달 150만원에 연 400%의 상여금을 약속했다.
그러나 박씨는 3개월간의 수습교육을 마친 뒤 실제 연봉이 모집공고와 터무니없이 다르다는 것을 알곤 분노를 감출 수 없었다.
박씨는“매달 60여만원의 생활비를 들여 수습기간을 겨우 마치고 나자 회사가 어렵다며 약속한 급여를 지급하지 않고 있다” 고 불만을 터트렸다.
김아영씨(25·광주시 서구 쌍촌동·가명)도 서울업체의 허위·과장 광고에 걸려든 전형적인 케이스.
김씨는 지난해 11월 서울에 있는 모 웨딩업체의 ‘네트워크 마케팅’ 부서로 입사했으나 3개월동안 손에 들어온 급여는 겨우 60만원.
회사측은 취업 당시 전화나 인터넷 등을 통해 웨딩 상담을 하면 기본급 100만원에 계약 건수당 30%의 성과금을 약속했으나 월 5건의 계약을 채우지 못했다는 이유로 기본급을 지급하지 않은 것.
김씨는 “나중에 알고보니 ‘네트워크 마케팅’ 부서는 다단계 업무를 허울좋게 바꿔 놓은 말장난에 불과했다” 며 분노를 터트렸다.
박씨 등의 사례처럼 최근 광주지역 대학 졸업생들의 취업난이 가중되면서 타 지역 취업사기가 속출, 취업 준비생들을 두 번 울리고 있다.
19일 광주·전남지역 시민단체들에 따르면 허위·과장 채용 공고로 인한 피해사례가 매달 30여건씩 접수 또는 전화 상담되고 있다.
이들 업체는 취업 준비생들이 조급한 마음을 이용해 ▲근로 조건에 대한 과장광고 ▲채용을 미끼로 한 투자 강요 ▲구인을 가장한 부업알선과 자금모금 등 다양한 수법을 동원하고 있다.
이같은 취업 피해를 막기위해 자치단체가 중심돼 취업상담센터를 운영하는 등 자구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광주시 서구청은 지난 1월 관내 기업체들과 고학력 실업자를 연결하는 ‘해오리 취업센터’ 를 개소해 현재 20여명의 구직을 알선했다.
서구청은 관내 업체들의 재정안정도 및 향후 발전성 등을 파악해 우량 기업을 선정, 구직자를 추천하고 있으며 구청 홈페이지를 통해 구직 희망자가 취업조건을 제시할 경우 이에 맞는 업체를 추천하는 ‘맞춤형 취업 서비스’ 도 병행하고 있다.
광주시 서구청 김오성 실업대책담당자는 “인터넷 등을 통해 타지역으로 취업할 경우 피해 보상 절차가 복잡하고 교묘히 법망을 피해 나가는 경우가 많아 취업생 스스로 주의하는 수밖에 없다” 면서 “최근 각 지자체별로 취업상담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만큼 무조건적인 ‘서울업체’선호 보다는 자신의 조건에 맞는 지역 업체를 알아보는 것도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다” 고 밝혔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