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희윤(남도일보 문화체육부 차장)

정희윤 기자

각 나라와 민족은 전통 가치에 따라 독특한 문화를 형성해 왔다. 이러한 문화의 결과물이 바로 문화재이다. 문화재에는 고유의 정서와 가치관이 깃들어 있어 민족이나 국가의 정체성을 정립하는 데 있어 빠질 수 없는 요소이다. 하지만 21세기를 살아지는 지금, 가꾸고 보존해 나가야 할 문화재가 사실상 방치 상태에 놓여 있어 암담한 실정이다. 문화재를 담당하는 전문 인력이 광주·전남 등 대다수 기초지자체엔 없는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지난 11일 국회 국정감사를 위해 문화재청이 국회(김예지 국회의원)에 제출한 ‘2022년 9월 기준 기초지방자치단체별 문화재 업무종사 공무원 현황’에 따르면 전국 226개 기초지자체 가운데 문화유산을 관리하는 조직이 있는 곳은 서울시의 2개 구, 경기도의 2개 시, 경북도의 3개 시·군 등 17곳에 불과했고 부산, 대구, 강원, 인천, 광주 등은 문화재 관련 조직이 있는 기초지자체가 한 곳도 존재하지 않았다. 그나마 전남은 22개 시·군 중 목포시와 순천시 등 2곳에 문화재 관련 조직이 구성돼 있었다. 사실상 문화재 행정에 손을 놓고 있다.

지정문화재는 보존 가치가 높은 문화재를 엄격한 규제를 통해 항구적으로 보존하고자 하는 제도이다. 문화재청장의 지정으로 국가지정문화재가 지정되며, 국보·보물·사적·명승·천연기념물·국가무형문화재·국가민속문화재 등 8개 유형으로 분류한다.

문제는 광역 단체인 광주광역시에 문화재 전담 부서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광주에는 전남대학교 용봉관을 비롯해 광주 신창동 유적 등 지역 내 국가지정문화재가 162건에 달한다. 더불어 광주 신창동 및 월계동 장고분 등 보존 가치가 높은 문화재가 산적해 있는 것을 고려한다면 문화재 전담 부서 설치가 시급한 것이 현실이다.

문화재는 국가와 민족의 정체성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더 나아가 잘 보존해 후세에게 물려줘야 하는 소중한 자산이다. 이러한 문화재의 가치에도 불구하고 행정 업무에선 등한시되고 있어 참담할 뿐이다. 이미 사라진 것을 다시 복원하는 작업은 어렵지만, 현존하고 있는 문화재만이라도 더는 맥없이 사라지지 않도록 보존하고 보호해 나가는 것이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들의 의무라고 생각한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