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준호(남도일보 경제부 기자)

 

박준호 남도일보 경제부 기자

중소기업은 우리 경제의 풀뿌리이자 허리를 담당하고 있어 중소기업이 살아야 경제가 산다. 하지만 세계적인 불황 속에 기업들이 경영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지역에 기반을 둔 중소기업은 ‘인력난’과 ‘자금난’, 그리고 ‘판로 개척’ 등에서 어려움이 더 크다. 이 중 인력난이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히고 있다. 중소기업의 인력난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숙련된 엔지니어가 중요한 제조업의 특성상 현장에서 일할 사람이 없다 보니 숙련된 기술을 가진 인력 확보가 쉽지 않다. 어렵게 직원을 채용해 기술을 가르쳐 놓으면 더 좋은 조건의 회사로 옮기기 일쑤다.

특히 광주·전남지역 중소기업 대부분은 제조업이 주를 이루고 있어 인력 확보가 더욱 중요하지만 일할 사람 구하기가 쉽지 않다. 청년들이 수도권 기업을 선호해 광주·전남을 떠나는 이른바 ‘탈광주’, ‘탈전남’을 하고 있어 중소기업은 성장하지 못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최근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2분기 호남권 지역경제동향’에 따르면 올해 2분기에 광주에서만 2천 명 넘는 인구가 타 지역으로 빠져나갔으며, 이들 중 절반 이상이 20~3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분기 기준 광주지역 인구는 전입인구보다 전출인구가 많아 2천238명이 순유출된 것으로 분석됐다. 이 가운데 20대는 859명, 30대는 497명으로 20~30대의 타 지역 이동이 전체에서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일한 순유입 연령은 70대 이상(115명)이었다.

광주시와 전남도 등 지자체와 중기중앙회 등에서 다양한 중소기업 지원 정책들을 내놓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지는 의문이다. 시·도의 지원책을 보면 광주시는 올해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을 2천500억 원 규모로 확대 지원한다. 전남도는 청년 일자리 지원 사업, 근속 장려금 지원, 지역 대학과 연계한 조기 취업형 계약학과 운영 등을 추진하고 있다. 중기중앙회 광주전남본부도 고용 허가신청 대행과 근로시간 유연화, 외국 인력 도입 확대 등을 정부와 국회에 꾸준히 건의하고 있다.

하지만 지역 중소기업들은 이러한 지원책만으로 기업의 인력난이 대폭 개선될 수는 없으며 피부에 크게 와닿지 않는다고 말한다.

중소기업에 대해 부정적 인식이 있다 보니 구직자는 물론 구직자 부모도 공공기관이나 대기업, 중견기업을 선호하고 있다. 대기업·중견기업과 비교해 임금, 복지 등 복리후생 부분에서 큰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중소기업=인력난’이라는 꼬리표를 떼어내지 못하고 있는 이유기도 하다.

전남 지역 한 중소기업은 지자체 홈페이지와 인터넷 구인구직 사이트 등에 1년간 채용공고를 올렸지만 지원자가 없어 구인을 포기했다고 한다. 중소기업이 청년 인재를 확보하고 유지하며 만성적인 인력난을 해소할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 유관기관, 업계가 함께 손을 맞잡고 근로조건 개선과 인식 개선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때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 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