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수의료 진료 지원·기반 확대
기존 근로자 재취업 적극 지원도

 

전국보건의료산업노조 광주시립요양·정신병원지부와 광주제2시립요양병원 지부 조합원들이 광주광역시청 1층 로비에서 출근 투쟁을 벌이고 있다. /임문철 기자 35mm@namdonews.com

최근 경영난을 이유로 시립제2요양병원이 폐업한 가운데 광주시가 공공의료 공백 최소화를 위한 대안 마련에 나섰다. 응급의료,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정신과 등 필수의료 중심의 시스템 재구축은 물론 폐업에 따른 직원 재취업 문제 등에 대해서도 해결 방안을 모색하겠단 입장이다.

지난 2013년 개원한 광주 시립제2요양병원은 전남대병원이 수탁 운영해왔지만 누적된 적자폭이 커지면서 운영을 포기했다. 지난해 12월 31일자로 병원 폐업절차도 들어갔다.

노조 등은 광주시 직영 운영을 대안을 제시했지만 시는 절차 및 예산등을 이유로 거절하면서 이뤄지지 않았다.

운영 종료에 따른 의료공백 우려가 곳곳에서 터져나왔다.

시는 “걱정없다”는 입장이다. 지난 2013년 9천126개(36개 병원)였던 요양 병상이 지난해 6월 기준 1만4천438(62개 병원)개로 늘어났고, 병상가동률도 넉넉한 만큼 여유가 있다는 설명이다.

또 민간 요양병원에서 관리가 어려운 중증치매환자와 저소득층 지원사업은 시립 제1요양병원(257병상/병상가동률 58%)이 맡고 있어, 노인성질환에 대한 공백은 없다는 부연도 내놨다.

여기에 병원 폐업으로 직장을 잃은 기존 직원들의 취업도 알선하겠단 입장이다. 제2요양병원엔 의사 5명, 간호사 20명, 간호조무사 12명, 약사 1명, 보건직 10명, 사회복지사 2명, 영양사 2명, 원무·행정 8명 등 모두 62명이 근무했다.

시는 의료진을 제외한 나머지 직원들에 재취업을 위해 광주 일자리종합센터, 산하기관, 자치구 등과 연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여기에 시는 시립제2요양병원의 운영 종료에 따라 향후 병원부지 활용방안 등을 다각적으로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시립제2요양병원 부지가 도시계획상 사회복지시설 부지인 탓에, 요양병원을 폐업하면 의료기관의 재개설은 사실상 어려워서다.

시는 일각에서 우려하는 시립정신병원 제1요양병원의 운영 종료사태 역시 수탁자와 충분히 협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시립정신병원 제1요양병원 수탁자가 오는 4월30일까지 조건부 해지를 통보했으나, 시는 정신응급 및 치매안심병원은 필수의료 분야로 다각적인 지원방안을 협의 중이란 설명이다.

이밖에도 시는 공공의료정책을 필수의료 분야 의료취약계층 의료서비스 확대와 감염병 대응에 중점을 두고 공공의료 안전체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손옥수 복지건강국장은 “시는 앞으로 의료취약계층에 대한 필수의료영역 지원을 확대하고 저소득층에 대한 보건의료서비스가 충분히 이뤄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심진석 기자 mourn2@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