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영 교수팀, 알킬아민 질량분석으로 확인
“페인트 첨가제 규제 정책 보완 필요성 규명”

 

왼쪽부터 송우영 박사후연구원과 김태영 교수./지스트 제공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김태영 지구·환경공학부 교수팀이 페인트에 분산제로 첨가하는 성분이 수십 년 후에도 토양 생태계를 위협하고 번식을 억제하는 생식독성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확인했다고 9일 밝혔다.

국내에서는 페인트 미세플라스틱이 토양 생태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잘 알려지지 않았으나 유럽 화학물질청 조사에 따르면, 페인트는 토양으로 유입되는 미세플라스틱 중에서 타이어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해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팀은 건물 외벽이 노후돼 발생하는 페인트 가루가 토양 생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주목했다. 1950년대의 외벽 페인트가 남아있는 옛 동독 지역의 폐가 주변에서 땅에 떨어진 페인트 조각을 모아 잘게 부순 뒤 가루의 크기에 따라 5개 그룹(500-1천, 250-500, 100-250, 50-100, 20-50㎛ )으로 분류해 예쁜꼬마선충에 독성을 나타내는지 확인했다.

그 결과 페인트 가루는 예쁜꼬마선충의 번식을 억제하는 생식독성을 나타냈으며, 독성의 세기는 페인트 가루의 색깔과 크기에 따라 다양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팀은 페인트 가루가 토양에 1%(무게비) 섞여 있을 때, 예쁜꼬마선충의 자손 수가 최대 약 60%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으며 이러한 독성의 차이를 나타내는 핵심 원인 물질이 페인트에 분산제로 첨가되는 알킬아민이라는 것을 질량분석을 통해 밝혔다.

연구팀은 토양에 알킬아민이 25 ppm(100만분의 1) 정도일 경우, 예쁜꼬마선충의 번식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김태영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외벽 페인트가 수십 년이 지난 후에도 토양 독성을 나타낸다는 증거”라며 “시간이 지나 페인트 가루가 잘게 부서지면 페인트 표면적 증가로 독성 첨가제가 더 많이 유출되어 지금보다 훨씬 큰 환경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페인트의 특성을 고려하여 페인트 첨가제에 대한 규제 정책을 보완하고, 첨가제를 보다 안전한 물질로 대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의 지원을 받아 김 교수와 송우영 박사후연구원이 주도했으며 베를린 자유대학교의 김신웅 박사후연구원 등이 국제 공동 연구자로서 참여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화학회가 발행하는 환경화학 분야 최고 권위의 국제학술지 ‘환경과학과 기술’ 온라인에 게재됐다..
/윤종채 기자 yjc@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