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문 (사)가야연구원장

 

김성문 (사)가야연구원장

김흠순(金欽純)은 김유신(흥무대왕)의 아우이다. 그는 자녀를 많이 뒀고 가정적인 성품을 가진 장군이다. 화랑으로서 풍월주가 됐고 전쟁에서 큰 공을 세웠다. 그의 생애는 여러 사서(史書)에서 볼 수 있다.

김흠순의 혼인 이야기를 보자. 그는 화랑의 네 번째 지위인 전방화랑이 되자, 지위 높은 화랑들에게 인사하기를 게을리하지 않았다. 때마침 정자 안에서 여가를 보내고 있는 ‘보리’ 풍월주에게 인사했다. 그때 보리 풍월주의 딸 보단낭주(菩丹娘主)가 남동생과 함께 정자 아래 연못가에 놀고 있었다. 김흠순은 보단의 아름다운 자태가 신선 같아 보였다. 그는 첫눈에 마음이 끌려 보단에게 흠모하는 눈빛으로 한참 동안 보다가 갔다. 며칠 후 보리 풍월주를 배알(拜謁)하고는 사위가 되기를 청했다.

보리 풍월주는 김흠순의 의기(意氣)를 장하게 여겨, “남자가 조심해야 할 것은 여색이다. 네가 내 딸을 사랑하면서 더 극진히 사랑하는 첩을 많이 두지 않는다면 사위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흠순은 그리하겠다고 맹세하므로 보리 풍월주가 보단을 김흠순에게 시집보냈다. 김흠순은 보단의 재주와 미색이 뛰어나고, 정숙한 덕을 잘 갖췄기 때문에 기쁨에 넘쳤다. 정사(政事)도 보단의 의견을 많이 듣고 참조했다. 아들만 일곱을 낳았는데 부모를 닮아서 모두 영민하고 용감했다.

김흠순은 늘 주위 사람들에게 내가 나라에 공을 세울 수 있었던 것은 내조의 덕이라 말했다. 그는 나라에 큰 일이 있으면 집에 들러서 보단하고 말을 나누고 다시 떠났다. 형인 김유신과는 대조적이다. 김유신은 나라에 큰 일이 있으면 자기 집 앞을 지나면서까지 나라에 충성했다. 김흠순은 나랏일로 외지에 있을 때가 많았다. 보단은 원망하지 않고 집에서 무사하도록 기도했다. 그러다가 김흠순이 돌아오면 온 집안이 시끌벅적하고 화기애애한 잔치 분위기였다.

660년, 63세 때 나당 연합군이 백제를 정벌할 때 김흠순은 장군 품일(品日)과 함께 대장군 김유신을 도와 백제 계백(階伯) 장군의 5천 결사대와 7월 9일 황산(黃山)벌에서 결전을 벌이게 됐다. 신라군은 네 번 싸워 모두 패했다. 이때 김흠순은 화랑인 아들 반굴을 불러 적진으로 홀로 들어가 싸우도록 명했다. 반굴은 아버지의 명을 받들어 적진에서 싸우다가 장렬한 죽음을 맞이했다. 이를 본 신라 병사들이 목숨을 걸고 싸워 계백의 결사대를 물리치고 사비성을 함락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됐다.

김흠순이 65~66세 때는 660년 백제 멸망 후 잔당들이 부흥 운동을 일으키자 다른 장군들과 함께 모두 토벌했다. 71세 때인 668년에 고구려를 정벌할 때 관등이 각간(角干)에 올라 있었다. 김흠순은 각간 김인문(金仁問) 등과 함께 군단의 지휘관인 대당총관(大幢摠管)이 돼 고구려 정벌에 나섰다. 그는 항상 김유신을 도왔다. 이때 김유신 장군은 대당대총관으로 본국에 머물러 있었다.

신라는 고구려 정벌 이후, 백제의 토지와 유민을 취하므로 당나라 고종이 격노했다. 그러나 당나라와 애초 약정에 따르면 신라가 백제 고토의 전부를 차지하게 돼 있었으므로 잘못은 당나라에 있었다. 그런데도 문무왕은 669년 각간 김흠순과 파진찬(波珍飡) 양도(良圖)를 당나라에 보내 사죄하도록 했다. 당나라에서는 두 사람을 감옥에 가뒀다. 그 후 당나라는 신라가 사죄함을 생각해서 이듬해 김흠순은 서라벌로 보내고, 양도는 억류당해 감옥에서 죽었다. 사신을 억류하고 죽도록 한 당나라는 신라와 전쟁을 선포한 것과 마찬가지였다. 신라는 670년에 당나라 오골성을 선제공격하므로 7년간의 나당전쟁이 있었으나 신라의 승리로 끝났다.

김흠순은 젊어서 술을 좋아했다. 항상 보단부인이 손수 술을 담가 다락 위에 저장해 뒀다가 내주곤 했다. 어느 날 김흠순이 술을 찾자, 보단이 다락에 올라가 한참 동안 내려오지 않았다. 김흠순은 이상하게 여긴 후 다락에 올라가 보니 큰 뱀이 술독에 빠져 있었고, 보단은 놀라서 넘어져 일어나지 못했다. 김흠순이 보단을 업고 조심스럽게 아래로 내려왔다. 그 후로는 다시는 술을 마시지 않았다고 한다. 보리 풍월주가 김흠순의 술 이야기를 듣고는 아내 사랑하는 마음이 대단하니 가히 딸 둘을 줄 만하다고 해 보단의 동생 이단(利丹)도 김흠순에게 시집보냈다. 이단은 3녀 2남을 두었다. 자매가 한 남편을 섬기는데 서로가 투기하는 일 없이 화목하게 지냈다.

김흠순은 재물이 부족하면 항상 ‘염장’ 풍월주에게 구했다. 염장은 김흠순의 인품을 보고 딸들을 김흠순의 아들들에게 시집보내기로 했다. 보단은 “염장은 여색을 좋아하고 재물을 탐내니 가풍이 손상될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김흠순은 여색을 좋아함은 남자의 본성이니, 나 또한 보단이 아니었다면 마땅히 염장처럼 됐을 것이라 했다. 셋째 아들 반굴 외에는 모두 염장의 딸과 혼인했다. 김흠순의 아들 중 넷째 원수(元帥), 여섯째 원선(元宣), 아홉째 원훈(元訓)은 모두 중시(中侍)가 됐다. 중시는 오늘날 국무총리 지위와 같다.

김흠순 장군은 여러 번 전쟁을 겪었으나 패한 적이 없었다. 군사들을 자식처럼 사랑했다. 680년 2월 보단부인과 함께 천상계로 올라가니 수(壽)가 83세였다. 그때 보단부인은 남편보다 두 살 아래였다. 자손(子孫)이 백 명에 이르고 조문하는 사람이 만 명을 헤아렸다니 흠모하지 않을 수 없다.

※외부 칼럼·기고·독자투고 내용은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