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성(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

 

강경성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

지방의 산업단지에서 청년을 보기 어렵다. “창원의 산업단지에 취업할 때 고민이 많았다. 요즘 후배들은 지방의 산업단지 근무를 희망하지 않는다.” 지난 2월 22일 열린 14번째 창원·경남 민생토론회에서 창원국가산업단지에서 근무하는 한 중소기업 연구원의 말이 뇌리에 남는다. 창원국가산단의 생산액은 지난해에 역대 최대인 60조원을 돌파했지만, 고용은 그다지 늘지 않았다. 생산액이 한해 8.6조원이 늘었지만 고용 증가는 1,813명에 불과했다. 기업이 직원을 채용하고 싶지 않아서가 아니다. 산업단지에 일하려 하는 사람, 그중에서도 청년을 찾기가 어려워서이다. 청년이 찾지 않는 산업단지, 과연 미래가 있을까?

지난 1964년 조성된 구로공단 (現 서울디지털산업단지)을 시작으로 현재 1,289개의 산업단지가 전국에 분포해 있다. 지난 60년간의 대한민국 경제의 성장을 견인해왔고, 지금도 제조업 생산·수출·고용의 절반 이상을 책임지고 있다. 하지만, 50년, 60년 된 낡은 공장들만 빼곡한 산업단지는 더이상 청년들에게 매력적이지 않다. 사람이 오지 않는 곳에 기업들은 투자하지 않는다.

산업단지의 패러다임이 확 바뀌어야 한다. 산업단지 정책의 중심에 사람을 두어야 한다. 청년이 다시 찾게 하려면 산업단지 곳곳에 문화가 깃들게 해야 한다. 청년이 와야 기업이 오고, 기업이 와야 산업단지가 활력을 찾는다. 그래야 지역경제도 살아난다.

정부는 산업단지를 문화가 있고 청년이 찾는 산업캠퍼스로 바꾸겠다는 목표로 지난해 8월 ‘산업단지 입지 킬러규제 혁파방안’을 발표하였다. 이를 실행하기 위해 산업집적법을 올해 1월 개정·공포하고 하위 법령을 정비해 7월 본격 시행한다.

민간이 투자하여 산업단지 곳곳에 문화·편의시설을 확충할 수 있도록 경직된 용도 규제도 획기적으로 풀고, 청년이 일하고 싶은 새로운 산업이 기존 산업단지에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업종도 주기적으로 바꿀 계획이다.

더 나아가 산업단지를 보다 청년 친화적으로 혁신할 산리단길 프로젝트도 본격 추진한다. 산업단지 곳곳에 걷고 싶은 아름다운 거리와 청년 복합문화센터를 조성하고 노후 공장의 리뉴얼도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민간투자의 마중물이 될 정부 펀드의 규모도 지난해보다 2배 늘어난 1,868억원을 올해 지원한다. 이러한 정부의 노력이 결실을 맺어 청년들이 산업단지를 다시 찾아주기를 기대하지만 결과는 확신하기 어렵다.

하지만 지난주 방문한 춘천의 후평산업단지에서 작지만 의미있는 희망을 보았다. 50년이 넘어 폐업공장이 즐비한 후평산단 중심에 강원도가 설립한 디자인진흥원이 있고, 산업부가 지원한 지식산업센터 옆에 국토부가 건립한 임대형 행복주택이 있었다. 청년들은 지식산업센터에서 일하고 행복주택에서 살며 디자인진흥원에서 문화를 즐기고 있었다.

이에 10%대였던 청년 근로자의 비중이 최근 30%로 올라가고 IT·지식산업 비중도 10%대에서 60%대로 증가하였다. 이처럼 산업과 문화, 그리고 생활이 어우러지면 산업단지 혁신은 성공할 수 있다.

우선 지방정부가 산업단지 변화의 구심점이 되어주어야 한다. 이에 중앙정부는 부처 간 벽을 허물고 원팀이 되어 산업단지에 문화를 융합하여 변화의 속도를 더할 것이다. 문화가 있어야 청년과 기업이 온다. 이제는 문화가 산업단지의 미래이다.

※본 기고는 헤럴드경제와 제휴해 게재합니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