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지자체가 서울과 세종에 운영 중인 사무소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최장 26년째 이어온 서울사무소를 비롯해 세종사무소가 국고 확보에 많은 성과를 내고 있으나 매년 수십억 원의 혈세를 사용하면서 적절성 논란이 일고 있기 때문이다.

본보 취재 종합 결과, 지난해 서울과 세종사무소 운영 예산은 광주시 10억2천386만 원, 전남도 5억4천100만 원 등 광주·전남 시·도와 20개 시·군 총 23억9천776만 원으로 파악됐다. 올해 예산은 광주시 10억7천440만 원, 전남도 6억2천200만 원 등 22개 지자체 총 28억483원에 이른다. 이들 예산이 계획대로 집행되면 작년보다 17%(4억707억 원)가량 더 소요된다.

세부 현황을 보면 서울 한 곳만 사무실을 운영하는 시·군은 광양시와 순천시, 담양군, 무안군, 신안군, 영암군, 완도군, 화순군 등 8곳이다. 세종사무소만 꾸려가고 있는 곳은 목포시, 여수시, 강진군, 고흥군, 구례군, 영광군, 보성군, 장성군, 장흥군, 함평군, 해남군 등 11개 시·군이다. 서울과 세종 2곳을 운영하는 곳은 광주시와 전남도, 나주시 등 3곳이다.

문제는 대다수 지자체 서울·세종사무소가 내부 인사 적체 해소용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이다. 전문성과 인적네트워크가 부족한 탓에 정부 예산 확보나 공모사업 유치에 전혀 도움을 주지 못해 효율성이 거의 없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이다. 더군다나 서울사무소가 해당 지역단체장을 위한 의전용으로 전락했다는 비난까지 받고 있다. 반면 화순·보성·장흥·담양·구례군 등 일부 서울·세종사무소의 경우 전문성을 최대한 살려 1천억 원이 넘는 국고를 정부 예산안에 편성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운영비와 인건비 대비 높은 효율성을 입증하고 있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