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신안 어업인 단체들이 전국 최초로 8.2GW급 규모의 신안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 사업의 조속한 추진을 정부에 촉구했다. 이번 신안 어민들의 요구는 사업 추진의 최대 걸림돌 중 하나로 꼽히는 주민 수용성 확보 신호탄을 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더해주고 있다.
한국수산업경영인 신안군연합회 등 신안 어업인 단체들로 구성된 신안군어업인연합회는 지난 2일 라마다플라자 광주호텔에서 열린 ‘신안 해상풍력 어업인 수용성 보고회’에 앞서 신안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 사업을 조속히 추진해달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성명서에서 지구 온난화로 인한 어획량 감소와 유가 상승, 일본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방류 결정 등 어업인 생존권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시했다. 이어 재벌그룹의 RE100 선언,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전 세계가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에 공감하며 정부는 해상 풍력 추진에 수산업 공존 방안과 합리적인 보상 방안을 즉시 수립할 것을 촉구했다.
신안 어업인들의 성명 발표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해상풍력 불확실성으로 어업활동 투자가 무산될지 모른다는 우려감에서 나온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전국적으로 해상풍력사업 추진 과정에서 어업인들의 반대가 극심한 것과 비교하면 매우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게다가 신안 해상풍력사업이 빨리 추진될 수 있도록 신안군민과 연대할 것을 강조하면서 신안군과 전남도에 힘을 실어줬다. 신안군도 지역 어업인들의 성명을 전환점 삼아 주민 수용성 확보에 더욱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2030년까지 총 사업비 48조 원을 들여 원자력발전소 8기와 맞먹는 8.2GW급 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는 이 사업이 차질을 빚어서는 안 된다. 발전사업자들도 정부와 정치권에 국가적 차원의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한 목소리를 내길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