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념식 끝까지 우비·우의 안 써
오른 주먹쥐고 ‘임~행진곡’ 제창
“어머니 애통 세월 헤아릴 수 없어”
보훈처에 5·18묘역 쉼터 확장 지시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오전 광주광역시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3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하기 위해 오월어머니들과 입장하고 있다. /임문철 기자 35mm@namdonews.com
윤석열 대통령은 18일 오전 제43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해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 정문인 ‘민주의 문’을 ‘오월의 어머니’들과 함께 입장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기념식을 찾았다. 검은색 정장과 넥타이를 맨 윤 대통령은 5월 어머니 15명을 민주의 문에서 맞이했다. 이어 5·18 기념탑 앞 행사장까지 약 6분간 함께 걸었다.
광주에는 비가 약하게 내렸다. 윤 대통령은 이날 행사가 종료될 때 까지 우비나 우산을 쓰지 않았다.
이날 ‘오월의 어머니’들과 함께 입장한 것은 주요 인사들과 함께 입장하는 관례에서 벗어났다는 게 대통령실 설명이다.
윤 대통령은 흰색 우비를 입은 참석자들 사이에 앉았다. 양옆에도 오월 어머니들이 자리했다. 어머니들은 기념식 중간중간 눈물을 훔쳤다.
윤 대통령은 이날 기념사에서 “오늘 이 자리에 오월의 어머니들이 함께하고 계신다”며 “사랑하는 남편, 자식, 형제를 잃은 한을 가슴에 안고서도 5월의 정신이 빛을 잃지 않도록 일생을 바치신 분들”이라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3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님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고 있다./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오전 광주광역시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3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고 있다. /광주·전남사진기자단
그러면서 “애통한 세월을 감히 헤아릴 수 없지만 희망을 잃지 않고 살아가는 분들의 용기에 다시 한번 깊이 감사드린다”면서 “5월의 정신은 우리를 하나로 묶는 구심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기념식 말미에 5·18 민주화운동을 상징하는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했다. 오른손 주먹을 쥐고 흔들며 오월 어머니들과 함께 노래를 끝까지 불렀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박근혜·이명박 등 과거 보수 정부 시절 ‘제창’ 여부를 놓고 갈등을 빚었지만, 윤석열 정부에서는 논란을 없애고 2년 연속 제창 형태로 불러 의미를 더했다.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윤재옥 원내대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박광온 원내대표 등 이날 기념식에 참석한 여야 지도부도 팔을 흔들며 함께 제창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5·18민주묘역 입구 민주관 쉼터 확장을 지시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박민식 국가보훈처장에 “가족들이 묻혀있는 묘지를 찾아온 유가족들이 도시락도 드시고 쉬실 수 있도록 민주관 쉼터를 확장해 공간을 확보해드리도록 하라”고 지시했다고 김은혜 홍보수석이 서면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임소연 기자 lsy@namdonews.com
/이현행 기자 lhh@namdonews.com
당신을 위한 추천 기사
- [제43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대통령 기념사 역대 가장 짧았다
- [5·18 제43주년 기념식]광주 총집결 여야, 청년 민심 잡기 ‘후끈’
- [5·18 제43주년 기념식]‘5·18정신 헌법 수록’…尹 대통령 응답 없었다
- [5·18 제43주년 기념식] 5·18정신 헌법전문 수록 원포인트 개헌 가능성은
- 제43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 엄수
- [5·18 민주화운동 제43주년] 오월의 역사와 한을 담은 5·18 기념식 노래들
- [5·18 민주화운동 제43주년]궂은 날씨에도 오월 영령들의 넋을 기려…역대 최대 규모
- [사설]윤 대통령, "오월 정신은 소중"…2년 연속 헌법 수록 언급 안해
- 野, 5·18 헌법 수록 위해 ‘원포인트 개헌’ 제안 놓고 정치권 공방 가열
- [5·18 제43주년 기념식] 윤석열 대통령 참석 시민 반응 “진심 느껴져…공약들 하루빨리 이뤄지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