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중소기업들이 심각한 자금난, 청년들의 근무 기피 현상에 따른 인력난, 경기침체 속 고금리 등 총체적 난국으로 코로나19 때보다 더 힘든 세월을 보내고 있다. 여기에다 내년 최저임금 인상과 중대재해처벌법 확대 적용(상시근로자 5인 이상 50인 미만 사업장),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 감소에 따른 수출 부진 등이 현실화될 경우 지역 중소기업은 고사할 수밖에 없어 특단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남도일보 취재 종합 결과, 광주·전남 중소기업들이 경기 불황에 따른 수출 부진과 고질적인 인력난, 고물가·고금리 등으로 줄도산 위기에 놓여 있다. 광주·전남중기청에 따르면 2021년 지역 내 법인사업자와 개인사업자 7만9천여 곳이 개업한 가운데 5만1천여 곳은 폐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기청은 인력과 자금난을 폐업 주요 원인으로 보고 있다.

제조업 비중이 높은 광주·전남 중소기업은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금융기관에서 자금을 차입하고 있으나 고금리로 인해 차입에 따른 이자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대출 금리는 여전히 5%대의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데 중소기업 특성상 상당수는 자기 자본만으로 감당하기엔 역부족인 상황이다.

게다가 지난달 우리나라 무역수지가 에너지 수입 감소 덕분에 16개월 만에 ‘불황형 흑자’로 돌아섰으나 수출 부진도 중소기업들을 옥죄고 있다. 우리의 경제 상황에 맞게 금리를 동결하거나 가급적 빨리 완화 기조로 전환하지 않으면 중소기업들은 사실상 살아남을 수 없을 것이란 전망이다.

대기업 부재 속에서 광주·전남 중소기업들은 지역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다. 광주시와 전남도, 중기청 등은 중기공제기금 대출이자 지원(현행 1∼2%) 확대 등 체감할 수 있는 지원책을 통해 중소기업의 숨통이라도 트게 해 줘야 한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