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은 제22대 총선 투표일이다. 이날 투표를 통해 지역구 254명(광주 8명·전남 10명·전북 10명), 비례대표 46명 등 총 300명의 국회의원이 선출된다. 4년간 입법 활동과 국가 예산안 심의·의결, 국정 운영 감시·견제 등을 하는 선량(選良)을 뽑는 선거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 텃밭인 광주, 전남·북의 경우 각종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 경선이 끝나면 선거판이 파장(罷場) 분위기로 흐르는 폐단이 되풀이되고 있다. 이번 총선도 예외는 아니다. 일부 민주당 후보들은 경선 당시 열정과 간절함을 보여주지 않고 있다. ‘민주당후보=당선’이란 공식에 안주한다는 지적이다. 여당인 국민의힘과 군소정당, 무소속 후보들은 단 한 표라도 달라고 큰절로 읍소하지만 유권자들의 반응은 냉담하다. 마치 시골 5일 시장의 오후 모습처럼 썰렁한 총선판이다.

거대 양당의 관심도 멀어졌다. 이재명 민주당 상임공동선거대책위원장은 지난 한 달간 총 130여회 지원 유세를 했으나 광주는 단 한 번 들렀다. 전남은 아예 방문하지도 않았다. 한동훈 국민의힘 총괄선거대책위원장도 지난달 15일 광주와 전남을 한 차례 찾은 뒤 발길을 끊었다. 양 당 모두 최대 접전지인 한강·낙동강 벨트에 화력을 집중한 탓으로 풀이된다.

민주당과 국민의힘 지도부의 ‘호남 무관심’에도 사전투표 열기는 뜨거웠다. 지난 5·6일 치러진 사전투표 결과, 전남지역 투표율이 41.19%로 전국 1위를 차지했다. 광주의 사전투표율도 38.00%로 전북 38.46%에 이어 세 번째를 기록했다. 그럼에도 여전히 유권자 10명 중 6명가량은 투표를 하지 않은 셈이다. 이들은 10일 선거인별로 지정된 투표소에서만 지역구 후보와 비례대표 정당에 각각 한 표를 찍어야 한다. 민주시민의 권리와 의무인 참정권을 포기해선 안 되기 때문이다. 정당과 인물 중 어느 쪽을 선택할지는 유권자의 몫이다.
 

당신을 위한 추천 기사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