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울돌목에도…전국은 지금 케이블카 ‘붐

30여곳 추진중…여수·통영 성공 사례로 유치 경쟁

강원 삼척·부산 송도도 대박…“황금알 낳는 거위”

지지부진 산악케이블카 설악산 승인나자 기대 커져

검토부터 찬반 논란…정부 심의 등 넘어야 할 산 많아

전남 여수와 경남 통영 케이블카 성공 사례로 케이블카 사업이 ‘황금알을 낳은 거위’로 인식되면서 전남을 비롯한 전국 지자체들이 사업 유치 경쟁을 벌이고 있다. 하지만 환경보호와 개발이라는 상충된 이해 속에 케이블카 사업 유치는 기대만큼 쉽지 않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사진은 여수 해상 케이블카 모습./여수시 제공
국내에 케이블카 사업 붐이 일고 있다. 전남 여수와 경남 통영 케이블카 성공은 케이블카 사업이 전국으로 퍼지는 계기가 됐다. 여기에 지난 2015년 정부가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 설치를 승인하자 전국 자치단체가 너도나도 케이블카 설치 사업에 뛰어들어 지역경제에 활기를 불어넣으려 한다. 하지만 환경보호와 개발이라는 상충된 이해 속에 케이블카 사업을 유치하는 게 쉽지 않다.

◇ 해상·내륙 34곳 추진 중=1일 전국 지자체와 한국삭도협회 등에 따르면 전국에 설치된 케이블카는 모두 154개로 놀이동산이나 테마파크를 제외한 순수 관광용은 15곳에 불과하다. 이 가운데 국립·도립공원에 설치된 것은 9개뿐이다. 그러나 현재 전국 각지에 케이블카 설치가 추진 중이거나 검토 중인 곳은 34곳이나 된다. 사업 예정지도 해상과 내륙 국립공원 등 다양하다.

전남에도 현재 5곳이 추진중이거나 착공에 들어갔다. 구례군은 1990년부터 30년 가까이 케이블카를 추진중이다. 지리산 온천관광지에서 종석대(차일봉)까지 3.1㎞ 구간에 군비 297억 원을 투입해 8인승 자동순환식 케이블카 38대를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영암군도 국립공원인 월출산에 케이블카 설치 재추진에 나설 기미다. 애초 계획했던 영암읍∼천황봉 구간을 최근 관광객 유치에 수월하고 경관이 좋은 천황사 방향으로 노선을 변경해서라도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해상케이블카 설치사업도 잇따라 추진되고 있다. 진도군과 해남군은 이순신 장군의 명량대첩 전승지인 진도 울돌목에 해상케이블카 설치사업을 검토 중이다. 목포시는 유달산과 고하도를 잇는 케이블카 설치사업을 1998년과 2008년에 이어 세 번째로 도전 끝에 지난해 10월부터 공사에 들어갔다. 여수에서는 돌산과 경도를 잇는 해상케이블카도 추진되고 있다.

◇ 황금알 낳은 거위 인식=지자체가 케이블카 사업에 적극 나선 데는 관광객 유치와 경제적 파급 효과 때문이다. 여수 해상 케이블카는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꼽힌다. 케이블카 설치 전후 여수시 방문 관광객에서도 그 효과를 엿볼 수 있다.

여수는 지난해 11월까지 1천421만명의 관광객을 유치했다. 12월까지 합산할 경우 1천500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관광객 증가는 ‘여수 밤바다’ 프로젝트 등 여수시의 다양한 관광자원 개발이 어우러진 결과지만 케이블카도 크게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케이블카 개장 이후 여수 구도심에 있는 유람선, 오동도, 레일바이크 등도 관광객으로 북적이고, 주변 숙박시설과 음식점, 건어물가게도 케이블카 덕을 보고 있다.

전남 유일의 내륙 케이블카인 두륜산 케이블카도 연간 이용객 30만 명에, 수익만 20억 원 이상 남기면서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통영 미륵산 한려수도 조망케이블카’는 국내 케이블카 사업의 최대 성공 사례로 꼽힌다. 2008년 3월1일 운행을 시작, 연평균 130만명이 이용하며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는 연간 1천300억∼1천500억원에 달한다. 통영케이블카 건설에 173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된 점을 감안하면 상당한 경제적 이익을 안겨준 셈이다

지난해 개장한 삼척과 부산 송도의 해상케이블카 사업이 대박을 터뜨리자 케이블카 사업이 마치 ‘황금알을 낳는 거위’처럼 인식돼 지자체와 민간사업자가 앞다퉈 케이블카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설악산 케이블카 사업 승인 ‘기폭제’=눈에 띈 건 해상 케이블카는 사업 진행에서 속도를 내고 있는 반면 내륙은 그렇지 못한 다는 점이다. 해상케이블카가 각광을 받게 된 계기는 2008년부터 운행한 통영 케이블카였다. 이전까지 국내 케이블카는 내륙 산악이 주종이었다. 1962년 서울 남산 케이블카를 필두로 2000년대 중반까지 도심에서 먼 유명 산에 주로 설치됐다. 하지만 도심 관광지와 연계성이 떨어졌고, 산을 오르내리는 교통수단에 그쳤다. 산악지역 케이블카가 해상 케이블카 보다는 환경 보전을 앞세운 환경 단체의 저항에 더 크게 부딪힌 점도 속도를 내지 못한 이유로 풀이된다.

지지부진하던 산악 케이블카는 설악산 오색지구케이블카 사업이 비록 조건부지만 지난해 정부 승인을 받으면서 사업 추진 활기를 띄게 됐다. 양양군은 설악산 오색지구케이블카 설치 시 984억∼1천520억원의 막대한 경제적 파급 효과를 예상하고 있다. 양양군이 이 사업 승인에 두 차례나 실패하고도 포기하지 않고 삼수에 도전한 이유다.

◇중복·과잉 투자 지적 제기〓케이블카 사업은 그 위치가 해상과 내륙 여부를 떠나 검토 단계부터 많은 찬반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찬성론자들은 자연환경의 보편적 이용 및 접근권 보장과 경제 활성화 등을 추진 배경으로 설명한다. 반면 환경단체 등은 환경보존, 불확실한 경제성 등을 이유로 반대 논리를 편다.

여기에 문화재청 문화재심의위원 통과, 환경영향평가 심의, 국립공원관리공단의 공원사업시행허가, 산림청의 산지전용허가 등 넘어서야 할 산이 많다. 경제논리를 내세워 우후죽순으로 케이블카 사업이 추진되는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인기사업을 따라하면서 자치단체 간 중복·과잉 투자로 인한 출혈경쟁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문재인 정부가 ‘케이블카 러시’를 어떻게 볼 지도 관심이다. 실제 지난해 대선운동 기간 중 문재인 캠프는 강원도의 숙원 사업인 오색 케이블카를 지역 핵심 공약에 넣지 않았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케이블카 허가의 마지막 키를 쥔 환경부 수뇌부가 시민운동가 출신으로 바뀌었다. 일각에서는 개발에 포커스를 둔 박근혜 정부와 다른 잣대를 적용할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광주전남발전연구원 김종일 사회환경연구실장은 “지자체들이 경제활성화를 명분으로 케이블카 사업 유치에 뛰어들고 있지만 흑산 공항 건설 심의 보류에서도 보듯 문재인 정부에서국립공원내 케이블카 사업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면서 “지자체간 과잉·중복 투자 우려도 있는 만큼 경제적 타당성 등을 고려해 서 추진여부를 결정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김명식 기자 msk@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