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체된 관광산업 활성화 vs 원형 훼손 우려
정치적 대립에 시민단체까지 찬반 갈등 심화
목포시, 평가위 거쳐 우선협상자 선정 ‘강행’

 

전남 목포시 ‘삼학도 호텔 건립’을 놓고 지역사회에 찬반 여론이 엇갈리면서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사진은 삼학도공원 조감도. /남도일보 DB

전남 목포시 ‘삼학도 호텔 건립’을 놓고 지역사회의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목포시는 관광거점도시에 걸맞는 대형 호텔의 필요성을 내세우는데, 반대측은 삼학도 원형 훼손을 우려하고 있는 형국이다.

여기에 전·현직 시장의 정치적 대립으로 비화되는 양상을 보인데다, 시민사회단체까지 찬·반논란에 가세하면서 지역사회가 양분되고 있어 해결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호텔 건립 찬성 측인 삼학도 관광활성화 추진위원회는 26일 “삼학도는 그동안 국비가 투입돼 복원화가 추진됐으나, 동네 주민들의 산책공간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닌 채 방치돼 있다”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서도 체류형 관광 인프라를 확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대 측의 주장도 만만치 않다. 목포환경운동연합은 “목포시가 호텔 사업자를 선정하려면 국토계획법과 공원법에 따라 사전에 도시기본계획과 관리계획, 공원조성계획을 변경한 다음 사업자를 공모해야 한다”며 “그래야 도시계획에 대한 공익적 검토와 주민 의견수렴 등이 가능하다. 목포시는 기본적인 절차도, 자체 용역 결과도 무시한 채 막무가내식 행정을 펼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러한 논란 속에서 목포시는 호텔 건립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목포시는 대한민국 4대 관광도시로 선정됐으나 그에 걸맞지 않게 고급 호텔, 컨벤션 시설 등이 없는 상황이다. 4성급 이상 호텔이 7개소나 있는 여수와 크게 대조적이다. 1천500만 관광도시를 목표로 하는 목포의 최대 약점이 바로 컨벤션시설을 포함한 호텔 부재다.

대규모 행사를 안정적으로 치를 수 있는 시설이 없다보니 전남도청과 인접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수 등 전남 동부권에서 대형 행사가 열리고 있다. 대형 행사 등을 안정적으로 개최하기 위해서도 관광 인프라 확충은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히고 있기 때문이다.

목포시는‘목포 삼학도 평화누리 유원지 조성사업 민간사업자 모집 공고’를 내고 지난 6월 사업 참가의향서를 접수한 데 이어 8월 사업계획서 접수 등을 거쳐 9~10월 평가위원회를 개최,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이후 주민 공청회와 시의회 의견청취 등 행정절차를 이행해 유원지 결정사항을 전남도에 승인 신청 후 내년에 삼학도 유원지 조성공사를 착공할 방침이다.

지난 2000년부터 1천200억 원 이상을 투입해 복원된 삼학도. 한국제분 공장 구조물을 철거할 때에도 철거와 보존을 놓고 갈등을 빚어 왔고, 어린이바다과학관, DJ노벨평화상기념관 등 건축시설이 들어설 때는 복원과 개발의 기로에서 논란을 빚기도 했다.

이제는 복원화 마무리 단계에 이르렀지만, 지방선거를 앞두고 또 나시 논란에 휩싸인 가운데 목포시의 행정력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중·서부취재본부/박지훈 기자 jhp9900@namdonews.com
목포/김배원 기자 kbw@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