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道교육청, 친환경식재료 공급 시스템 수술대 오른다
매달 안전성 검사 추진·우수 식재료 공급 인식 확대
공급업체 평가제 도입…독과점 운영 병폐 해소 기대
영양사부터 조리사까지 식재료 품질 교육 참여 계획

 

전남 무안 모 초등학교에서 친환경식재료로 공급된 당근에서 심하게 곰팡이가 피어있다. /독자제공

[속보]최근 전남 지역 일부 학교 급식에 저 품질의 친환경식재료가 공급되고 있다는 지적과 관련(본보 11월 25일자 1면, 11월29일자 24면, 12월 6일자 24면 보도), 전남도 및 전남교육청이 친환경식재료 공급 시스템에 대한 대대적 손질에 나섰다. 농산물 현지 생산 후 유통, 검수를 통한 최종 학교 공급까지 전 과정에서 발생된 현 식재료 운영시스템을 전면 수정하겠단 의지 표명이다.

◇전수조사 착수

14일 전남도 및 전남교육청 등에 따르면 전남도와 전남교육청은 합동으로 지난달 말부터 지난 9일까지 전남 친환경식재료 공급업체 51개소 및 학교 2천400여곳 급식시설 전체에 대한 전수점검을 실시했다. 특히 ‘공급업체 식재료 관리 및 입출고 검수시스템’, ‘학교 식재료 리콜율 및 안전성 조사’ 등에 대해 집중적으로 들여다 본것으로 확인됐다.

조사기간 동안 귤 등 일부 친환경식재료 등에서 품질저하 문제가 발견된 것을 제외하곤 특별한 위법 및 위반 사례는 없는 것으로 잠정 결론 났다.

다만 이와별개로 계절적 변화 등 요인으로 학교현장에서 수년전부터 여러차례 제기된 ‘물러짐’, ‘곰팡이 발생’ 과 같은 일부 친환경농산물 품질 저하 문제를 재확인, 이에 대한 영양교사 등 학교 급식 현장 관계자들의 의견을 15일까지 수렴해 대대적인 변화를 추진하겠단 입장이다.

◇기본 계획 다변화

전남도 및 전남교육청은 우선 이달말께 내년도 학교급식 지원사업 지침 개정을 추진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보다 촘촘한 관리 시스템을 도입해 ‘전국 최초’란 타이틀이 흔들리고 있는 전남 친환경 급식 운영틀을 꽉 움켜 쥐겠다는 의지다.

우선 분기별로 진행하던 안전성 검사 횟수를 매달(연 12회 이상)실시할 계획이다. 감시 횟수를 늘려 식재료 공급과 관련한 투명성을 확보하겠다는 복안이다.

아무리 적은 물량이더라도 품질저하가 뚜렷한 식재료의 경우엔 무조건 학교에서 리콜조치를 하도록 ‘의무화’도 추진한다. 리콜율을 높임으로서 납품업체에는 경각심을, 학생 및 학부모들에겐 우수한 식재료를 공급한다는 인식을 심어주기 위함이다.

또 공급업체 평가제를 도입, 사실상 독과점 형태로 운영되며서 야기되는 병폐를 뿌리 뽑겠단 구상도 세웠다.

사실 지역에선 그동안 몇몇 식재료 납품업체들이 수년간 지역 어린이집부터 유치원, 초중고 학교 수백여곳의 식재료를 독점적으로 공급하면면서 일부 식재료들에서 문제가 발생된 사실을 알고도 ‘양이 적다’는 등 핑계로 이를 묵인·방임했단 의혹을 사왔다. 일반농산물을 친환경농산물로 둔갑시키거나 가공품을 친환경농산물로 속인 행위 이외 품질 저하 등으론 사실상 페널티가 없는 현 규정을 교묘히 악용했다는 지적이다. 이번 논란을 통해 이러한 관행을 더 이상 묵과하지 않겠다는 것이 전남도 및 전남교육청 입장이다.

전남도는 도 농정평가지표에 학교급식 안전관리 항목을 추가할 방침이다. 이밖에도 전남도 등은 코로나 19 확산으로 인해 지난 2년간 일시 중단된 시군 영양사 및 영양교사에 대한 품질교육을 확대·운영할 예정이다. 음식을 조리하는 조리장 및 조리원까지도 해당 교육에 참여시켜 급식의 질을 높이겠다는 뜻도 밝혔다.

전남도 관계자는 “친환경 농산물 특성상 보관기관이 짧고, 지역서 생산되지 않는 식재료로 있는 탓에 유통과정에서 품질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들이 보고됐다”며 “보다 안전하면서도 체계적인 친환경식재료를 학교에 공급할 수 있도록 안전망을 꼼꼼하게 다지겠다. 업체관리부터 학교급식 현장 전 분야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들을 미연에 방지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학교급식 친환경농산물 지원 사업은 지난 2004년부터 전남도가 도교육청과 연계해 자체 추진하는 특화 사업이다.

중·서부취재본부/심진석 기자 mourn2@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