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지역 기후대응댐 후보지 주변 주민 설득과 충분한 보상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 댐 건설은 기후위기로 인한 극한 홍수와 가뭄으로부터 국민 생명을 지키고 미래 물산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키우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기 때문이다.
환경부가 추진 중인 기후대응댐 후보지는 다목적댐 3곳, 홍수조절댐 7곳, 용수전용댐 4곳이다. 권역별로는 한강권역 4곳, 낙동강권역 6곳, 금강권역 1곳, 영산강·섬진강권역 3곳 등 총 14곳이다.
이 중 전남지역 후보지는 화순 동복천댐(용수 전용), 강진 병영천댐(홍수 조절), 순천 옥천댐(홍수 조절) 등이다. 기후대응댐과 같은 다목적댐이 있었다면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이어진 남부지방 최악의 가뭄 피해가 적었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당시 무려 281일간 이어진 남부지방의 가뭄으로 광주지역 최대 식수원인 동복댐이 바닥을 보인데다 광주는 제한급수 위기까지 몰렸다. 더군다나 지구 온난화 등에 따른 극강의 홍수와 가뭄 등 자연재해가 매년 되풀이되면서 물 관리는 국가의 운명을 좌우할 수도 있다. 다행스럽게도 강진 병영천댐과 순천 옥천댐 인근주민들은 댐 건설에 찬성하는 입장이다.
하지만 화순 동복천댐 주변 주민들은 댐 건설에 강력 반대하고 있다. 이들은 댐이 세워지면 삶의 터전을 빼앗기고 제대로 된 보상도 못 받는 처지에 놓인다며 주민설명회도 원천 봉쇄하겠다는 입장이다. 특히, 기존의 주암댐과 동복댐에다 동복천댐까지 들어서면 한 지역에 3개 댐이 자리 잡은 사례는 전국적으로도 보기 힘들다는 게 주민들의 주장이다. 실제, 댐 인근 지역이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면서 개발 행위 등이 제한되고 땅값은 떨어져 희생만 당했다. 기후대응댐 건설 찬반 유무를 떠나 해당지역 주민들의 생존권 보장을 위한 정부의 특단의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