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2조원대 영업 이익 불구 4분기 다시 적자 예상
47조원대 달하는 누적 적자 등 마이너스 경영 허우적
적립·자본금 따라 회사채 발행…수조원 영업적자 기록
발행한도 대폭 축소 전망…누적 회사채보다 부족 우려
한전채 빚으로만 회사 운영 악순환 되풀이 ‘해법 절실’

 

한전 본사 전경

한국전력이 막대한 한전채(회사채) 발행을 통해 근근히 버티고 있지만, 내년엔 이마저 여의치 않을 전망이다. 한전은 지난 3분기 결산결과 약 2조원대 영업이익으로 지난 9분기째 이어 온 사상 최대 폭의 영업적자 흐름에 종지부를 찍고 10분기 만에 겨우 흑자를 달성했다. 하지만, 올해에만 누적 영업손실 6조4천534억원에, 47조원에 달하는 누적 적자 등 여전히 마이너스 경영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당장, 4분기 결산에서 흑자를 장담하기 어렵고, 오히려 적자 가능성이 커 내년 한전채 발행에도 지장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한전은 적립·자본금에 따라 회사채를 발행하는 재정적구조에서 수조원의 영업적자를 낸 만큼, 발행한도 역시 대폭 축소될 전망이다. 한전채 발행으로 운영자금을 충당하면서 연명하는 한전이, 내년엔 그 규모 마저 대폭 축소될 것으로 보여 지난해 처럼 한전법 개정 등 어떤 해법으로 위기를 타개할지 주목된다.

◇ 내년 한전채 한도 적자손실로 대폭 줄듯

15일 ‘한전채 발행 상세내역’에 따르면 올해 한전 적립금은 17조7천억원으로 지난해 42조7천억원에 비해 25조원 줄었다. 현재 한전채는 한전 자본금 3조2천억원에 적립금 17조7천억원을 더한 금액의 5배까지 발행할 수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승인을 얻으면 최대 6배까지 한도를 늘릴 수 있다. 따라서, 올해 한전 자본금과 적립금을 더한 20조9천200억원의 5배 금액인 104조6천억원·6배까지 확대하면 125조9천200억원이 한전채 발행한도다. 하지만, 한전 누적 회사채는 지난달 기준 80조원이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한전은 지난해 37조2천억원의 회사채를 발행했으며 올해는 7~8월 여름철을 제외하곤 15조5천억원 수준의 회사채를 지속적으로 유통시켜 대규모 적자를 빚으로 막아냈다. 이런 상황이 길어질 경우, 앞으론 아예 회사채 발행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다.

당장, 내년이 걱정이다. 한전이 올해 적자를 반영하면 내년 회사채 발행한도는 대폭 축소 될 수 밖에 없다. 한전은 올해 3분기까지 6조4천534억원·4분기까진 대략 7조원이 넘은 적자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보여 이를 적용시 자본금과 적립금은 20조9천200억원에서 13조9천200억원으로 대폭 줄게 된다. 따라서, 5배를 적용하면 69조6천억원으로 현재 발행된 한전채 잔액보다 턱 없이 부족하게 된다. 물론, 산업부 장관 승인을 받아 6배로 늘리면 83조원이 넘어 여유 한도가 있지만, 막대한 빚으로만 회사를 운영하게 돼 악순환이 되풀이 될 수 밖에 없다. 매번 법개정을 통해 한전채 발행 한도를 늘릴 순 없는 노릇이다. 실제, 지난해 국회에서 한전채 발행 한도를 기존 ‘2배’에서 ‘5배’로 상향하는 개정안을 통과시키면서 급한 불은 껐지만, 한전은 차입금에 대해 매일 수십억원의 이자 비용을 부담하는 상황이다.

◇ 재무건전성 이미 바닥

한전의 재무건전성은 이미 바닥을 친지 오래다. 기획재정부가 지난해 6월 재무위험기관으로 14개 기관을 선정했는데 이 중 한전과 5개 발전자회사(남동·동서·남부·서부·중부)가 모두 포함됐다. 이런 문제 등으로 한전은 한때 부도 위기설까지 나돌았다. 일반적으로 기업 도산 즉, 부도는 현금이 바닥 났을때 발생하는데 한전은 이미 현금 유동성 자금이 위험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파악됐다.

현금유동성 비율이 통상 150% 이상이면 안정권에 속하고 50% 이하면 위험 수준으로 분류된다. 한전 경우, 현금 유동성비율이 50% 초반에 머물러 있다.

현재 한전 부채비율은 574.1%, 순차입금의존도는 55.4%로 이는 운영비 절반 이상이 차입금이라는 것이다. 때문에, 부도를 막기 위해 한전채 발행 상향 문제가 불거지고 있으며 더 많은 빚을 내 부도를 막아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지난해 이미 한전채 한도를 상향해 추가 확대에 따른 부담이 크고, 굳이 한전채를 상향한다고 해서 한전 부채 및 적자 문제가 해소 되리란 보장이 없어 부정적 입장에 무게를 싣는다. 무엇보다, 정부가 시장교란을 우려해 한전채 발행을 제한한 것도 큰 걸림돌이다. 한전 입장에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 상황에 놓인 셈이다. 더 큰 문제는 올해 한전이 대규모 적자를 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최근 산업용 대용량 가구에 대한 전기요금 인상을 통해 4천억원 규모의 추가 요금수익을 거둔다해도 워낙 누적적자폭이 커 내년 회사채발행한도를 해결하기란 수월치 않다는 분석이다. 이 경우 회사채 발행 한도는 대폭 줄어 들 수밖에 없다.

◇ 해법은 ‘전기요금 정상화 뿐(?)’

한전은 지난 2021년 5조 8천억원, 지난해는 무려 6배 가량 뛴 32조 6천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당시, 정부는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이 발발하면서 에너지 원자재 가격이 폭등했지만, 전기요금 인상은 소폭에 그쳤다. 때문에 ‘팔면 팔수록 손해를 보는 역마진 구조’가 극심해져 누적 적자는 천문학적으로 불어났다.

현재 한전 누적적자 규모는 47조원, 회사채 발행까지 합하면 총부채는 201조원을 넘어선다. 더욱 심각한 것은 막대한 누적 적자를 해소하기까진 상당한 시간이 걸리며 별 다른 해법이 없다는 것이다.

한전측이 부동산 및 지분매각과 인력감축 등을 탈탈 털어 제시한 자구책은, 막대한 적자를 감당하기엔 턱 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앞으로 위기상황 때마다 한전채를 적절히 발행하면서 근근히 버티는 수 밖에 없다는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그 기간이 5년이 될지 아니면 10년·20년이 될 지 알 수도 없다.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을 감안 하더라도 1~3분기 영업손실은 6조5천억원대에 이르며 연말까지 7조원대가 넘어설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전례없는 한전 운영 위기 속에 이를 타개하기 위해 전기요금 정상화가 나올 수 밖에 없는 이유다. 전기요금은 언제 인상 될지 기약 하긴 힘들다. 대체적으로 내년 총선 전까진 전기요금 인상은 어렵다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다.

하지만, 최근 인상된 산업용 전기요금과 함께 주택용 전기요금 인상 없이는 한전의 경영난 해소를 논하긴 힘들다는 목소리가 높다.

김동철 한전사장은 지난 국정감사에 출석해 “한전의 재무위기 극복을 위해선 전기요금 정상화가 무엇보다 시급하다”며 “최근 국제유가와 환율이 다시 급등하는 상황서 전기요금 정상화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고광민 기자 ef7998@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