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범사례 경기·제주도 조언
주민들 건의 수렴, 설계에 반영
유치 지역 경제적 혜택도 강조

 

2030년부터 직매립이 금지되는 생활폐기물 처리를 위해 광주광역시와 전남 일부 시·군이 쓰레기 소각시설 신설을 추진하고 나선 가운데 대표적인 주민 기피시설인 소각장이 주민친화형 시설로 거듭날 수 있을지 관심이 커지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말 순천시 쓰레기 문제해결을 위한 민관협의회 등 관계자들이 국내 대표 주민친화형 폐기물 처리시설로 꼽히는 경기도 하남시 하남유니온파크를 견학한 뒤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는 모습. /순천시 제공

“더 이상 쓰레기 소각장은 혐오시설이 아닙니다”

경기도 하남시와 제주도 생활쓰레기 처리시설 담당 공무원은 남도일보에게 공통적으로 강조한 말이다. 하남시와 제주도는 기피 시설이었던 ‘쓰레기 소각장’을 주민들이 원하는 기대시설로 거듭나게 한 대표적인 자치단체로 전국적인 벤치마킹이 되고 있다.

전용신 경기도 하남시 자원순환과 팀장은 “하남 유니온파크가 지어질 때만 해도 환경기초시설에 대한 주민들의 반대가 심했다”며 “하지만 주민들이 원하는 시설을 담아내고, 폐기물처리시설과 하수처리시설을 지하에 설치하는 등의 방안으로 주민들의 반감을 줄일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하남 유니온파크의 대표 시설인 물놀이장과 야외체육시설은 모두 지역 주민들의 건의로 지어진 곳들이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타 지자체에서 우리 시설로 쓰레기 소각장 건설 반대 입장 주민들을 데리고 견학을 많이 온다”며 “주민들은 (하남유니온파크를)직접 보고 난 후 생각이 많이 바뀌곤 한다”고 밝혔다.

제주도는 260억 원의 인센티브 지원 등 경제적 혜택 지원 강조로 지역민의 반감을 줄였다. 이를 통해 주민들의 마음을 움직였고, 마침내 입지 후보지 공모에서 3개(서귀포시 상천리·중문동·상예2동) 마을이 경쟁적으로 공모를 내는 결과를 이뤘다. 특히 제주 서귀포시 중문동 주민들은 광역 폐기물 소각장 유치를 기원한다는 현수막을 거리에 내걸기도 했다.

장청환 제주도 자원순환과 폐기물관리팀장은 “주민들에게 소각시설 설치비용의 20% 범위에서 주민편익시설이 설치되고, 쓰레기 반입 수순 10% 범위에서 기금 조성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며 “제주도는 큰 기업도 없고, 일자리가 부족하다. 경제적인 혜택을 강조한 것이 여론 형성에 효과를 봤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경제적 혜택 내용을 집마다 방문해 주민들에게 설명하고,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직원들이 애를 썼다”며 “유해 물질 역시 법적 기준의 50% 이하로 배출되는 점 또한 강조했다”고 밝혔다.
/김다란 기자 kdr@namdonews.com
 

당신을 위한 추천 기사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