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무두절…조기퇴근·휴가 사용 장려
"새 정부 실세 누굴까" 초미의 관심사

 

 대선을 앞두고 공무원 사회가 숨 고르기를 하고 있다.
 

차기 정부는 대통령 인수위원회 없이 곧바로 업무에 돌입해야 하는 만큼 다가오는 5월 황금연휴 이후엔 관가가 눈코 뜰 새 없이 바빠질 전망이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와 박근혜 대통령 탄핵 등으로 정국이 어지럽게 돌아가면서 행정부 수반이 없는 나날들이 반년 가까이 지속돼 왔다.

관가는 조기퇴근이나 연가 사용 등을 장려하면서 마지막 '무두절'을 보내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28일 오후 4시에 퇴근하는 유연근무제를 시행했다. 이 아이디어는 지난 2월 내수활성화 관계장관회의에서 기재부가 냈다.

야근과 주말 근무가 많기로 유명한 기재부도 꼭 남아야 할 직원들만 남겨두고 되도록이면 많은 직원들이 제도에 동참하기로 했다.

소비심리 회복을 위해 도입된 조치인데, 민간에서 먼저 나서기는 어려운 만큼 정부에서부터 제도 정착에 노력할 방침이다.

당초 이날 차관과 국장급 간부들과의 만찬이 예정돼 있었지만 조기퇴근일인것을 뒤늦게 알고 날짜를 미뤘다는 후문이다.

기재부의 한 사무관급 공무원은 "가급적 일찍 퇴근하라는 공감대는 확실히 형성됐다"며 "일이 있어서 집에서 하더라도 일단은 퇴근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얘기가 나왔다"고 말했다.

대선 이후 바빠질 게 뻔한 만큼 '쉴 수 있을 때 쉬어두라'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일부 국실에서는 3일 석가탄신일과 5일 어린이날을 전후한 2, 4일 중 하루는 휴가를 내 가능하면 가족과 함께 지내도록 할 예정이다.

물론 대선공약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국실은 예외다. 대선후보들이 예산이 수반되는 각종 복지공약들을 내놓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분석하는 데 여념이 없기 때문이다.

기재부 예산실 등에는 9일 대선 직후 이른 시일 내에 새 대통령에게 공약 실현을 구체화할 보고서를 제출해야 하는 큰 숙제가 주어졌다.

비교적 한가한 틈을 타 언론과의 관계를 돈독히 하려는 공무원들도 눈에 띈다.

다만 다음 정권에서도 가능성이 있는 공무원과 작별인사에 한창인 부류는 나뉜다.

새 정부의 출범과 함께 교체될 가능성이 높은 장차관급 이상 인사들은 기자들과의 식사 자리에서 '이제는 말할 수 있다' 식의 토로도 서슴지 않는다.

세종 관가에는 차기 정권의 실세가 누구인지에 대한 풍문도 파다하다.

장관 인사에는 청문회를 열어 국회 동의를 얻는 과정이 필요한 만큼 당장은 바로 임명이 가능한 차관들이 실세 역할을 할 것이라는게 공무원 사회의 중론이다.

차관 후보로는 각 부처마다 호남이나 부산·경남 출신의 1급 공무원 몇을 두고 하마평이 나돌고 있다.

일부 부처에서는 "우리 실장도 가능성이 큰 것 아니냐. 왜 하마평이 안 나오는지 모르겠다"며 우스개 소리로 자가발전을 하는 모양새도 포착된다.

 

/뉴시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