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복지수준 높은 대기업 선호
대기업 529만원 vs 중기 259만원
대·중기 임금 격차 갈수록 벌어져
노동규제 유연화 등 제도보완 요구

■기획-청년 취업난 해결 방안 없나
1 무더위도 잊은 취준생
2 스펙 쌓다 등골휜다

3 일자리 미스매치 심각
4 일자리 찾아 떠나는 청년들
5 지원기관·전문가 해법은

광주 광산구 어등산에서 바라본 하남산업단지. /남도일보 DB

광주·전남지역 산업현장의 구인난이 심각하다.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 때문이다. 제조업 등 중소기업들의 청년 구직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취업준비생들은 중소기업 취업을 회피하고 대기업, 공기업, 공무원을 선호하는 이유에 대해 근무환경, 보수체계, 사내복지, 안전성 등을 꼽고 있다. 취업준비생 김모(27)씨는 “중소기업 기피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체계가 나오고 있지만, 정작 중소기업의 근무환경 개선문제는 잘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며 “정부 차원에서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과 함께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개선이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다.

이에 중소기업들은 ‘노동규제 유연화’등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여전히 상당수 중소기업이 비용 부담, 구인난, 현장과 맞지 않는 유연근무제 등으로 주52시간제 시행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제조업 기반 중소기업의 상황은 더 열악하다. 주52시간제에 대응하려면 직원 수를 늘려야 하지만 고질적인 인력난 탓에 간신히 납기를 맞추는 기업이 적지 않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중기중앙회가 300인 미만 414개 기업을 대상으로 주 52시간제 시행 실태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업체 54.1%가 주52시간제 시행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제조기업의 주52시간제에 따른 인력난은 두드러졌다. 제조업체 2곳 중 1곳은 ‘추가 채용에 따른 인건비 부담이 크다’고 호소했다. 주52시간제로 근무 인력이 부족해진 상황에서 추가 인원 채용에 최저임금 상승이 겹쳐 이중고를 겪는다는 것이다.

어려운 이유로는 ‘구인난’이 52.2%(복수응답)로 주된 이유로 꼽혔으며 다음으로 ‘사전 주문 예측이 어려워 유연근무제 활용의 어려움’ (51.3%), ‘추가 채용에 따른 인건비 부담’(50.9%)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당초 근로시간이 주52시간제 이내란 응답(35.0%)을 제외하고는 ‘탄력근로, 선택근로 등 유연근무제 도입’이 30.7%로 가장 높게 조사됐다.

소규모 기업(5~29인)에선 ‘8시간 추가연장근로제 활용’(40.9%)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0~49인 기업은 ‘탄력근로, 선택근로 등 유연근무제 도입’ (37.7%)이 주된 대응방법으로 꼽혔다. 유연근무제를 활용하고 있는 기업 중 절반 이상(55.1%)이 유연근무제 운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청년들이 중소기업을 기피하는 원인으로 대기업 임금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도 거론된다. 중소기업계는 청년층의 유입을 위해 대기업과의 임금격차를 줄일 수 있는 정부의 지원 정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통계청이 올해 초 발표한 임금근로일자리 소득 결과(2020년 기준)에 따르면 대기업 근로자의 월평균 소득은 529만원인 반면, 중소기업 근로자는 259만원으로 2.04배의 차이를 보였다. /박지훈 기자 jhp9900@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