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정원 확대 반발 이탈 현실화
오늘 수도권 ‘빅5’ 전원 사직 결정
전남대·조선대 병원 동참 가능성

​​​​​​​“의료 윤리 저버린 집단 이기주의”
갤럽 여론조사 76% ‘의대증원’ 찬성
광주시, 비상체계 구축 피해 최소화

 

의사 집단행동 관련 국무총리 담화문 발표 지켜보는 시민
18일 오후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한덕수 국무총리의 ‘의대정원 증원 필요성 및 의사 집단행동 관련 대국민 담화문’ 발표 방송을 보고 있다./연합뉴스
한총리, 의사 집단행동에 대국민담화 “국민 생명 볼모 안돼”
한덕수 국무총리가 18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의대정원 증원 필요성 및 의사 집단행동 관련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하고 있다. 왼쪽부터 심우정 법무부 차관,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한덕수 국무총리,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연합뉴스
16일 서울대·세브란스·삼성서울·서울아산·서울성모병원 등 ‘빅5’ 병원의 전공의들이 의대 증원에 반발해 집단사직하기로 하면서 전공의 집단사직이 전국으로 확산할 전망이다. /연합뉴스 제공

정부의 2천명 의대정원 확대 정책에 반발한 전국 전공의들의 병원이탈이 초읽기에 들어간 가운데 전남대병원·조선대병원 전공의들도 이 대열에 합류할 것으로 관측되면서 지역 내 우려의 목소리가 확산되고 있다.

정부의 강한 행정력 발동에 단체사직이 아닌 개별사직 형태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지만 어떠한 방식으로든 전공의 이탈이 현실화 될 경우 의료공백에 따른 피해는 불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질병을 치료하고 건강을 증진시킨다’는 가장 기본적인 의료 윤리를 져버리면서까지 병원 현장을 뛰쳐나가려는 전공의들을 향한 지역민들의 실망감도 덩달아 커지고 있다.

광주시 등은 혹시나 발생한 의료현장의 혼란을 수습하기 위해 다양한 후속 대책을 내세우곤 있지만 이번 의대정원 확대 파장이 어디까지 미칠지 우려가 계속되는 상황이다.

18일 정부와 지역 의료계 등에 따르면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는 지난 16일 ‘빅5’ 병원 전공의 대표들과 논의한 결과 오는 19일까지 해당 병원 전공의 전원이 사직서를 제출하기로 결정했다. 일부 전공의들이 이 기간 사직서를 제출했다가 보건복지부의 업무개시(복귀) 명령에 다시 병원 현장으로 복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전공의들의 동요는 여전히 진행 중이란 점에서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특히 의료 인프라가 열악한 광주·전남은 더욱 민감한 실정이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난 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의과대학 입학정원 확대 발표를 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제공

광주지역 상급종합병원인 조선대병원은 지난 주말사이 142명의 전공의 중 7명이 개인사유를 이유로 사직서를 제출했다. 이에 발맞춰 나머지 전공의들도 사직 여부를 고심중으로 알려졌다.

전남대병원 전공의 320명도 오는 19일 사직서를 낼지 여부를 내부 논의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규모는 예측하기 힘들지만 전공의들의 사직 움직임은 거의 확정적인 상황이다.

전남대 의대생 94.7%가 동맹휴학에 동참하기로 했고, 조선대 의대생들도 휴학 찬성 여부 등을 설문조사를 진행 하는 등 이미 의료계 전반에 정부의 의대정원 확대 반대 여론이 모아진 점도 힘을 실어주고 있다.

반면 이번 사태를 바라보는 지역민 포함 여론은 탐탁치 않다. 의대정원 확대가 목숨을 일각에 두고 있는 환자를 외면하면서까지 단체 행동에 나설 일이냐는 시각에서다.

광주·전남 지역의 의료 인프라 수준은 전국적으로도 열악한 수준인데 그나마 있는 의료 인력들이 한꺼번에 빠져 나갈 경우 수술, 진료 등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는 점도 여론 악화에 주요 배경이다. 수도권 일부 지역 병원들에서 수술 일정이 늦춰지는 등 부작용이 속속 알려지면서 지역민들의 우려의 목소리는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부에선 밥그릇 지키기 위한 명분없는 싸움이라며 쓴소리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한국갤럽이 이달 13~15일 동안 전국 성인 남녀 1천2명을 상대로 한 조사(전화 면접, 표본오차 ±3.1%포인트·95% 신뢰수준)결과를 보면 의대 증원에 ‘긍정적인 점이 더 많다’는 의견이 76%에 달했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73%)과 국민의힘 지지층(81%) 모두에서 절대적 다수가 의대 정원 확대를 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 한 시민은 “전공의들은 주로 응급실 등 한시가 급한 환자들을 최일선에서 돌보는 역할인데 그들이 무책임하게 빠져 나갈 경우 그 피해는 온전히 환자들에게 오는 것 아니냐”라며 “의료 윤리에도 맞지 않다”고 꼬집었다.

또 다른 시민도 “의사 수가 늘어나면 결국 자신들의 수익성이 악화될 것이고 그것이 이번 사태가 발생한 근본 문제라고 본다”며 “어떠한 요구를 하려면 적어도 자신의 본분은 지켜가면서 싸워야 명분을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당장 이번 사태를 지켜보고 있는 광주시는 비상이다.

시는 의료계 집단행동이 현실화하면 호남권역재활병원 등 공공병원 4곳, 보건소 5곳 등 공공의료기관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한다.

특히 응급환자 발생에 대비해 권역응급의료센터와 비상연락체계를 구축, 시민에게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시민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지역 응급의료기관 21개소와 응급의료시설 5개소는 24시간 응급실을 운영할 예정이다.

손옥수 시 복지건강국장은 “의료계 집단행동에 대해 철저하게 대응해 의료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심진석 기자 mourn2@namdonews.com

 

당신을 위한 추천 기사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