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의사회·경찰 등 유관기관 합동 대책회의
광주시, 코로나 확산 차단 ‘총력’
질병관리본부·의사회·경찰 등 유관기관 합동 대책회의
어린이집 휴원·소독 등 논의…접촉자 확인 등 파악 주력

이용섭 광주광역시장이 4일 오후 시청 3층 중회의실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 발생에 따른 관계기관 합동 대책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광주시 제공
광주광역시는 4일 질병관리본부와 5개 자치구, 의사회, 대학병원, 경찰, 군 등 유관기관과 함께 대책회의를 갖고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이용섭 시장을 비롯해 광주시의사회 회장, 전남대병원장, 시교육감, 전남대·조선대·호남대·광주대·남부대 총장, 광주지방경찰청장, 광주출입국외국인사무소장, 광주지방식약청장, 31사단장, 제1전투비행단장, 503여단장, 자치구청장 및 보건소장 등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 방지를 위해 각 기관과 지역사회가 가지고 있는 인적·물적 자원을 총 동원해 대응키로 의견을 모았다.
또 질병관리본부의 확진자 이동경로·접촉자 확인 등에 지역 기관·단체가 적극 지원키로 했다.
광주시는 광주송정역과 광주공항, 광천동고속버스터미널, 광주역에 발열감지기를 설치해 운용할 계획이다.
확진자 A씨가 다녔던 병원과 자녀의 어린이집 등 바이러스 감염이 우려되는 곳에 대한 긴급 방역도 진행했다.
의료기관들은 감염증 예방 행동 수칙을 철저히 지키고 중국이 아닌 해외 방문자에도 관심을 두고 대응한다.
현재 광주지역에는 선별 의료기관 7곳과 보건소 내 선별진료소 5곳 등 총 12곳을 운영 중이며, 국가지정 격리병상 12곳도 지정돼 있다.
자치구는 방역대책반을 24시간 가동하고 모니터링 대상자에 대해서도 전담 공무원을 지정해 관리할 방침이다.
A씨의 이동 경로와 접촉자를 확인하기 위해 전담 공무원이 CCTV를 확인한다.
경찰과 119는 능동 감시자 등 소재가 불분명할 경우 위치 추적, 자가 격리 이탈 대응, 환자·검체 이동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특히 시교육청은 전체 학교에 세정제와 마스크 등을 공급하고 소독을 강화할 예정이며 확진자 A씨 자녀가 다녔던 어린이집 주변 유치원과 노인복지관의 일시 휴원을 검토할 방침이다.
광산구도 관내 어린이집 4곳을 휴원 조치한 데 이어 다른 관내 어린이집과 노인복지관 등의 임시휴원 여부도 검토한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시민이 볼 때 과도하다, 지나치다 할 정도로 철저히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며 “지역 위기관리 역량을 총결집해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확실하게 지킬 수 있도록 모든 기관이 도와달라”고 요청했다.
/정세영 기자 jsy@namdo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