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성광(광주광역시교육청 장학관·교육학 박사)

 

최성광 광주시교육청 장학관·교육학 박사

선생님, 요즘 마음이 많이 힘드시죠?

모든 선생님들이 서울 서이초 선생님의 안타까운 일을 자신의 일처럼 공감하며, 지켜주지 못해 미안하고, 비정상적인 학교의 모습에 분노하고 계실 것 같습니다. 저 또한 그러합니다. 지금은 교육청에서 학교 현장을 지원하는 일을 하고 있지만, 항상 마음 중심에 ‘나는 교사다’라는 생각을 품고 삽니다. 그래서 이번 일을 겪으며, 이 시대 선생님께 더 죄송하고 미안한 마음이 듭니다.

아마도 선생님은 대학 시절 아이들을 이해하고 잘 가르치기 위해 교육학부터 전공 내용까지 열심히 공부하셨을 것입니다. 교생 실습 때 학교 현장에서 만난 아이들을 보며 좋은 교사가 되겠다는 꿈을 더욱 키우셨겠죠. 하루 빨리 선생님이 되어 아이들과 함께 호흡하며 생활하고 싶은 간절함으로 힘든 임용시험 준비도 인내하였을 것입니다. 여러분은 그렇게 선생님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학교 현장은 생각했던 것 이상으로 힘들고 때로는 참담했습니다. 수업과 생활교육 자체가 힘든 소위 ‘금쪽이’들은 매년 어느 학급에나 있었고, 그 정도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습니다. 상식을 벗어나는 학부모의 민원과 교육활동 침해로 마음앓이 하는 일도 많았습니다. 그래도 선생님은 참고 버티었습니다. 이 또한 우리의 일이고, 우리는 아이들을 위해 존재하는 사람이라며 스스로를 각인시키고 참아왔습니다.

그럼에도 상황은 갈수록 심각해졌습니다. 여러 법과 제도, 관행, 사회적 분위기 등이 학교에서 선생님의 손발을 묶고 움츠러들게 만들었습니다. 대표적으로 학교가 배제된 채 제정 시행 중인 아동학대처벌법은 선생님에게 ‘아동학대 교사’라는 주홍글씨를 남길 수 있는 위협이 되었고, 많은 선생님이 법정에 서게 되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물론 아이들이 사회적으로 보호받고 아동의 권리를 누리며 건강하게 성장하도록 법을 만들어 시행하는 대원칙에는 동의합니다. 그러나 아이들이 가장 오랜 시간 머물고 활동하는 학교에서 교육적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일률적이고 행정적인 법 적용으로 수많은 선생님이 상처받고 두려움에 떨고 있습니다.

학교 현장이 이렇게 된 것에 대해 현재 교육청에서 근무하고 있는 저부터 반성합니다. 제아무리 훌륭한 교육정책도 이를 현장에서 펼쳐나갈 선생님이 없다면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교육이 바로 서고 선생님이 가르치는 보람을 느낄 수 있는 학교가 되어야 합니다. 정상적인 교육활동이 가능하도록 ‘아동학대처벌법’을 비롯해 ‘교권과 교육활동 보호 조례’ 등 큰 틀에서 법과 제도 개선이 필요합니다. 악성 민원과 교권침해로부터 선생님을 보호하기 위한 예방 정책도 필요하며, 상처받은 선생님을 위한 회복 프로그램과 세심한 복지 정책도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 교권보호를 위한 광주광역시교육청의 다양한 정책을 나열하지 않겠습니다. 저 역시 교사로서 학교 현장에서 치열하게 생활하였고, 다시 돌아갈 곳도 학교 현장이기에, 지금 제가 처한 이곳에서 선생님을 위해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일을, 최선을 다해 수행하겠다고 다짐합니다. 이는 우리 교육청 직원 모두가 저와 같은 마음일 것입니다. ‘단 한 명의 아이도 포기하지 않는 광주교육’은 ‘단 한 명의 선생님도 포기하지 않을 것’입니다. 선생님 힘내십시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