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찌꺼기’ 옛말… 재생에너지로 순환경제 ‘한축’
에너지 재활용 수익창출 ‘일석이조’
코펜하겐·로스킬레 성공사례 주목
지역난방수나 전기에너지 등 활용
친환경 위한 쓰레기 감량 노력 병행

국내선 소각재로 고형연료·사료화
덴마크 플라스틱 반환보증금제 눈길
정부·지자체 재활용 정책 역량 집중
자원순환문화 정착 공감대 확산 중요

 

덴마크 로스킬레 소각장. /argo 제공

쓰레기는 이제 더 이상 생산과 소비 후 남은 찌꺼기가 아닌 새로운 자원으로서 순환 경제의 한 축이 돼 가고 있다. 성공적으로 쓰레기 소각장을 운영하는 덴마크 코펜하겐 아마게르바케 소각장과 로스킬레 소각장에서는 쓰레기 소각시 발생하는 열을 활용해 전력을 생성하거나, 쓰레기 에너지 판매로 수익을 창출한다. 이를 통해 쓰레기를 돈이 되는 새로운 자원으로 탄생시키고 있다. 더 나아가 재활용 가능한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쓰레기 발생량을 줄이기 위한 근본적인 노력도 함께 이뤄지고 있다.
 

덴마크 로스킬레시 리사이클 센터. /argo제공

◇쓰레기는 이제 순환경제의 ‘한 축’

덴마크 로스킬레시 쓰레기 소각장은 소각시 발생하는 열과 고압 증기로 난방용수와 전기에너지 등을 만들어 2만개의 공장과 41만8천명의 주민에게 공급한다.

인근 코펜하겐시의 쓰레기 소각장인 아마게르바케에서도 쓰레기를 태울 때 발생하는 섭씨 950~1천100도에 달하는 열과 고압 증기로 전기와 지역난방수를 만들어 9만 가정에 공급한다. 이곳은 쓰레기 처리 비용과 열, 전력 판매 비용 등을 합쳐 연간 약 300억 원가량의 수익을 낸다.

덴마크 시민들은 쓰레기 소각으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지역난방수나 전기에너지로 활용하는 것에 거부감이 없다. 쓰레기 에너지가 오히려 자연친화적이고 이용요금이 저렴하다는 이유로 더 선호한다.

경기도 하남유니온파크에서 쓰레기를 소각해 만든 고형연료 인고트. /김다란 기자 kdr@namdonews.com

경기도 하남유니온파크에선 쓰레기를 태운 후 남은 재를 보도블럭 등 바닥재로 활용하고 있다. 또 스티로폼은 인고트 등의 고형 연료로 만들어서 인근 공장 등에 판매한다. 또 음식물쓰레기의 경우 이물질이나 합작물들을 제거한 뒤 사료에 맞게 파쇄해 인근 농가에 판매한다. 1톤에 1만 5천원의 저렴한 사료 가격에 인기가 높다. 경기도 평택 오썸플렉스에선 소각열 에너지를 수영장 등 주민친화 시설 운영에 사용하고 있다.

경기도 평택시 오썸플렉스 내 수영장. /평택시 제공

◇쓰레기 재사용에 국가적 역량 집중

하지만, 보다 근본적으로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발생 자체를 줄이고 재활용률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사회적 인프라 강구,시민의식 개선 등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

실제 덴마크의 경우 쓰레기 소각과 매립 이전에 쓰레기 발생 자체를 줄이고 재활용률을 획기적으로 높이는데, 국가적인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정부 및 지자체가 재활용 정책의 청사진을 마련하고 생산부터 배출, 그리고 처리까지 물질이 순환되는 과정을 관리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한 보증금 제도(Pant)다.

덴마크 로스킬레시 리사이클 센터. /argo제공

이 제도에 따라 마트에서 판매하는 물, 음료수 등에 용기 가격이 매겨져 있고, 이 용기를 반환했을 시 보증금을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다. 용기 반환 기기는 마트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지난 2021년 기준 이렇게 반환된 빈 병은 19억 개, 반환율은 93%다. 빈 병을 재활용해서 절약한 이산화탄소는 지난해만 약 21만 톤이다. 이렇게 처리된 빈 병은 기업에 재사용 병으로 되팔거나, 재활용 자재로 판매된다.

또 재활용이 가능한 가전과 가구는 리사이클 샵에서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기도 한다. 이 과정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쓰레기를 버리지 않고 재활용한다는 인식을 시민들에게 심어주고 있다.

이후 분리할 수 없고, 재활용할 수 없는 것들을 쓰레기 소각장에서 태워서 에너지로 다시 전환한다. 따라서 덴마크 시민들은 쓰레기를 소각하는 열을 활용하는 단계를 제한된 영토에서 지속 가능한 쓰레기 처리 해법 중 하나라고 여긴다.

◇쓰레기 말고 자원으로 문화 안착

광주시에서 하루 동안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은 1천355톤(2020년 기준)이다. 이를 소각한다면 열에너지로 활용할 수 있어 자원순환도 가능하게 된다. 하지만, 언제까지 쓰레기를 소각장에서 태우는 방식으로만 처리할 수는 없다. 선진사례를 참고해 소각과 매립 이전에 쓰레기 발생 자체를 줄이기 위해 가정 내 플라스틱 사용 줄이기와 음식물 쓰레기 최소화하기, 재활용센터나 리사이클링 마켓 등 지역 내 자원순환문화 시설 확충이 절실하다. 기업의 상품 생산과정에서의 플라스틱 최소화와 같은 정부 차원의 자원 순환과정 공공화 작업도 필요하다. /김다란 기자 kdr@namdonews.com

※이 기사는 지역신문 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당신을 위한 추천 기사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