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에서 마케팅까지 일원화 … 6차 산업 필수
생태관광 연계 10차 산업으로 발전
단순 생산기능에서 다기능으로 변모
한국섬진흥원, 현실과 조화 ‘급선무’
섬은 ‘삶의 기반·관광자원화’ 기대

남도일보·목포대도서문화연구원 공동기획=전남 희망 아이콘 ‘섬·바다’ 이야기

일본 카가와현 쇼도시마 매장 모습. 세토내해의 따뜻한 해양성 기후에 맞는 올리브 재배에 성공하여 다양한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기후 온난화 상황을 고려하면서 심은 올리브 나무가 섬의 중요한 관광 상품이 되어 섬 경제에 도움을 주고 있다.

섬 지역의 연륙·연도교 건설이 증가하고, 접근성이 높아지면서 관광객이 많이 유입되고 있다. 섬의 인식이 개선되고, 섬 경제를 활성화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만, 한편 섬은 급속도로 도시화하여 가고 있다. 그런데도, 섬 관광지로서의 대상 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의 장을 확대할 수 있는 공간이다. 그중 하나가 섬에서 생산하는 청정 생산물의 마케팅 장소로써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섬 산업 대부분은 농어업 1차 산업인 생산 기능에 머물고 있다. 지역의 브랜드 상품을 개발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섬 자체의 자원을 통해서 생산, 가공, 마케팅까지 일원화하는 6차 산업이 필수적이다. 또한, 최근에는 생태관광까지 연계된 10차 산업의 발전도 시도할 수가 있다. 현재 지자체에서 진행하고 있는 대부분의 섬 재생사업이 ‘관광’에 지향점을 두고 있다. 향후 섬·어촌 관광에는 생산과 관광(생산→생활→관광)을 생업과 연계한 ’산업관광‘의 형태로 전환되도록 앞서가는 전략이 필요하다.

류큐대학 사회경제학 Kakazu Hiroshi교수는 지속가능한 섬 경제 체제의 유지 관리를 위해서는‘섬 내부 생산, 섬 내부 소비’를 촉진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섬에서 재화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여 경제 수지 적자를 해소하는 ‘순환형 경제-사회’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홍선기 저, 2019. 도서학. 민속원 참조).

섬 산업인 어업의 전통적 생업 뿐 아니라 ‘순환형 경제-사회 시스템’의 구동을 위해서 섬 주민들은 어업 기술 이외에도 여타의 다른 녹색기술체계(청정에너지, IT, 제품 개발, 마케팅 등)에 쉽게 접근하여 1인 다기능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섬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필요한 섬이 가지는 고유한 ‘도서형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섬·어촌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논의는 여러 분야와 각도에서 논의할 수 있겠지만, 환경, 사회문화, 경제의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핵심축에 주목하여 섬·어촌 정책개발을 추진하자면, 크게 3가지 정책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기후위기와 같은 글로벌 환경변화에 적응 및 대응하기 위한 섬·어촌 기반 및 주민 생활 보장 정책 (포스트 어촌뉴딜 사업). 둘째, 섬의 고유한 지식과 기술 개발을 통한 자립성 섬 경제발전 기반 조성 (고도지능집약형 섬·어촌 산업생태계 구축). 셋째, 접근성 개선, 교통권 확보를 통한 도시-도서 상생 발전 모델 개발(예를 들면 島都相生 프로젝트)이다. 특히 급변하는 기후위기는 섬·어촌의 기반이 되는 해양생태계를 비롯하여 해역경관, 연안도시 모두에 해당하는 주요 이슈이기 때문에 향후 모든 섬·어촌 지속 가능한 발전 정책에 최우선으로 되어야 할 것이다.

해양수산부의 기존 어업기반 생산기능 중심의 섬·어촌 관점을 다층적이며 다기능적인 산업권, 생활권으로 전환적인 변화가 있어야 할 것이다. 해양수산부의 섬·어촌 관련 정책에 대한 전반적인 궤도 정비를 포함하여 포괄적이며 통합적인 차원으로 조직의 정비, 확대 재편하여 총체적 관리가 가능하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도서 지역의 인구 감소, 경제인력 감소와 대응하여 청년들의 귀어·귀촌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섬·어촌이 1차 생산과 섬사람의 생업공간이라는 1차원적인 공간에서 정주, 보전, 힐링, 관광 등 다양한 생태계 서비스 기능을 포함하는 다차원적인 공간으로 변해야 할 것이다.

2018년 ‘섬의 날’ 국가기념일 제정 계기로 섬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행정안전부 산하 한국섬진흥원이 목포에 설립되는 등 섬과 관련된 정책 기관이 변하고 있다. 섬에 대한 한국섬진흥원의 기능과 역할이 기존 행정안전부 섬 정책 관련 기능에 부합해야 하므로 해양수산부와 환경부가 주관하고 있는 별도의 섬 사업과 정책과는 당장 현실적으로 조화를 이루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섬·어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부처 간의 협력이 필수적인 상황이다. 해양수산부의 섬·어촌 정책은 섬(해양)자원 활용의 고도화와 산업화, 섬 고유생산기술의 발굴과 적용, 섬(해양)자원 발굴을 위한 해외 섬 지역 네트워킹 등 기존의 생산과 정주를 위한 섬·어촌을 생산-가공-마케팅-관광을 포괄적으로 확대하여 활용하는 섬-해역 공간 광역화 정책으로 전환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논의는 산업적 차원에서 섬 접근성 정책과 무관하지 않다. 포스트 코로나가 진행될수록 해외 관광객들의 섬 방문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에 섬에서의 생업은 삶의 기반이면서 또한 그 자체로 건강한 우리나라 섬을 보여줄 수 있는 관광 자원이 될 것이다. 이 주요한 이슈들은 8월 4일 목포해양대학에서 개최하는 제12회 전국해양문화학자대회에서 다뤄질 예정이다.

글·사진/홍선기(목포대 도서문화연구원 교수)
정리/김우관 기자 kwg@namdonews.com

당신을 위한 추천 기사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