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건호(전남 동부권 총괄취재본부장)

신건호 남도일보 전남 동부권 총괄취재본부장

중요한 것은 “지금 우리가 어떻게 할 것인가”이다. 남의 탓을 하면서 시간을 축내기에는 너무나 절박하고 시급하다.

한없이 무기력하고 비겁하게 들릴지 모르겠지만 “이제 그만 하자”. 오늘 먹은 밥값이 가장 싸다고 생각할 만큼 올라가는 밥상물가, 자고 나면 치솟는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제발 남의 탓 여기서 멈추자”는 이야기다. 단언컨대 우물쭈물하다간 큰일 난다. 우물쭈물해서는 안 되는 이유는 이렇다. 경유 같은 기름값은 말할 것도 없고 먹고사는 식자재의 경우 최근에 30% 안팎이 올랐다. 적상추는 한 달 사이에 90%가 올랐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물가상승률은 더욱 벌어진다. 1998년 외환위기 이후 24년 만에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대를 넘어 7%대를 위협할 판이다.

국제결제은행(BIS)은 초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해 각 나라 중앙은행에 지금보다도 더 많은 기준금리를 올려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 그렇지 않을 경우 1970년대처럼 경기침체 속 물가상승 상황인 스태그플레이션의 악순환에 빠질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한국은행이 빅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을 결정했으니 해결될까? 이미 미국 연준이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 인상)을 밟았고 더 올릴 수도 있다는 암시를 하고 있는데…. 한미금리가 역전돼 달러가 치솟고 외국인의 자금 유출로 환율 불안으로 이어지면 그 대책은? 빚을 내서 내집 마련한 서민들은, 퇴직금으로 주식 산 국민들은, 코로나로 고통인 상인들은? 걱정이다. 참고 기다리면 해결될 것 같지 않기 때문이다.

흔히 삶이라는 게 아무리 노력해도 10명 가운데 1명은 나를 좋아하고, 7명은 그저 그렇고, 2명은 나를 싫어할 수밖에 없다고들 말한다. 하지만 지금처럼 정치가 싫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내가 힘들고 내 이웃이 어려워지는 현상을 보고 듣고 있기 때문이다. 싫어하더라도 잘못됐으면 짚고 넘어가는 것은 당연하다. 어느 부위가 잘못돼 곪았다고 치자. 그럼 그 원인을 분석한 뒤 수술 여부를 판단하여 치료하면 된다. 그런데 “곪았다”는 소리만 들린다. 어떻게 하겠다는 의지가 드러나 보이지 않는다. 곪은 상처는 깊어지고 남의 탓하면서 갈등은 더 노골적이다. 곪아터질 지경이면 아파도 쓰려도 불구가 되는 한이 있어도 배를 가르고 수술을 해야 한다.

타인의 실수를 자기의 잘남으로 착각하는 사고, 타인의 약점을 통해 자기를 돋보이게 하려는 태도가 있는 한, 한마디로 자기 잘난 맛에 밀어붙이는 꾼들의 정치적 계산으로는 지금 같은 잔인한 경제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없을 것이라는 판단 때문에 마음이 조급하고 불편하다.

요즘 말리는 시누이가 더 밉다. 언론이 그렇다. 곪은 곳이 있으면 왜 그랬는지, 치유는 가능한지에 대한 보도보다는 힘 있는 편에 서서 그들의 목소리만 키운다. 서민들은 빚에 쪼들리고 희망 없는 삶에 뒤틀려 완도 앞바다를 찾고 있는데 정치권의 싸우는 이야기를 자신들의 입맛에 맞춰 날이면 날마다 보도한다. 반성하자. 지난 선거방송, 아니 지금까지 했던 보도에 대한 반성과 성찰 없이 넘어간다면 기레기(기자 쓰레기) 소리를 또 듣는다.

국민이 불안해서 “어떻게 할 것인가”를 묻기 전에 “이렇게 하겠다”는 답을 내놔야 한다. 그것이 정치다. 그러기 위해서 오스트리아 심리학자 아들러의 말처럼 지금은 “미움받을 용기가 필요하다”. 남의 미움, 타인의 잘못을 받아들여 타산지석으로 삼는 용기를 가져야 하고 늦다고 인식할 때가 가장 빠를 때라는 사고의 전환만이 전 세계적으로 밀어닥치는 경제위기를 넘기는 지혜가 아닐까 싶다.

공적 마인드가 빗나가면 개개인의 구체적 삶이 힘들어진다는 것을 우리 국민은 잘 안다. 실수한 행정과 정치, 그 파급력은 깊이를 가늠하기 어렵고 결과에 따른 고통의 무게는 개인적인 돌파나 그룹 차원의 대처로는 감당하기 힘들다는 것을 IMF, 금융위기, 코로나19, 그리고 완도바다에서 숨을 거둔 10살 조 양 일가족의 최후를 보면서 체험했다.

그래서 묻는다. 지도자들이여! “응답하라” 국민의 팍팍한 삶! 어떻게 할 것인가? 우리는 세월호 사건 이후 공공의 믿음이나 정의구현 같은 ‘사회 관계적 가치’가 상호 신뢰로 각인되지 못하고 허물어지는 것을 체험했다. 그래서인지 국민은 지금과 같은 “갈등, 냉소적 정치판을 거둬내고 신뢰를 바탕으로 경제를 안정시키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귀띔하고 있다. 이 귀띔을 듣고 있는지, 있다면 어떻게 할 것인지 지도자들이 “응답”할 차례다.
 

당신을 위한 추천 기사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